‘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 병력을 투입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곽종근(57)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옥중 입장문을 통해 “더불어민주당에 이용당했거나 회유당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14일 밝혔다.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의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곽 전 사령관은 이날 변호인을 통해 공개한 자필 입장문에서 “저는 지금까지 모든 것을 사실에 기초해 제 의사대로 판단하고 증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은 계엄 선포 사흘 후인 작년 12월 6일 특전사를 찾아온 민주당 김병주·박선원 의원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관련 진술을 한 것에 대해선 “당연히 여야 국방위원들이 함께 계신 장소에서 (말)하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며 “여야 의원들이 같이 있는 장소에서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당시 12월 5일 국회 국방위원회는 취소됐고 저는 12월 6일 오후 직무 정지된다는 것을 알았기에 최소한 직책을 유지한 상태에서 설명해야 부하들을 보호할 수 있다고 생각해 인터뷰에 응했다”고 해명했다.
이 유튜브 방송에서 곽 전 사령관은 계엄 작전 당시 국회 병력 배치 상황 등을 설명하다가 “본회의장으로 일부 들어갔던 인원이 있고 밖에 일부 인원이 있었는데, 제가 그 조치를 하면서 (김용현) 전임 장관으로부터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들을, 요원들을 밖으로 좀 빼 내라(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박 의원이 곧바로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한 것이냐)”라고 했고, 김 의원도 “국회의원들을요”라고 되묻자 곽 전 사령관은 “예”라고 대답했다. 이른바 ‘의원 끌어내라’ 발언의 단초를 제공한 것이다. 다만 곽 전 사령관은 지난 6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공개 변론에서 “윤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한 적은 없다. ‘인원’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 장관은 계엄군 지휘관들에게 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곽 전 사령관은 제출한 ‘자수서’에 대해서도 얘기했다. 그는 “자수서에 순화해서 표현했던 내용들을 그대로 정확하게 말하고자 ‘부수고, 끄집어 내라’는 표현 등 모두 당시 대통령님 말씀의 기억에 기초해 수정한 것”이라며 “다만 ‘도끼’라는 용어 표현은 당시에도 지금도 기억에 없다”고 했다.
또 곽 전 사령관은 “민주당이 도와주겠다고 얘기했다는데, 그것에 대한 생각이 없었고 무엇을 도와준지도 모르겠다”며 “변호사 지원도 없었고, 부승찬 의원 소개로 만난 변호인과는 1시간 정도 이야기하고 선임계 제출 없이 끝났다”고 했다.
다만 박범계 의원 측의 ‘공익제보자 신청 지원’ 의혹과 관련해선 “정확히 제 불찰이고 잘못”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당시에는 잘 모르는 상태에서 신청을 해주겠다고 해 작성했지만, ‘회유 수단’이라는 보도가 있어서 상황을 다시 인식하게 됐다”며 “현재 중지된 상태라고 들었다”고 밝혔다. 공익신고자 보호법에 따라 공익신고자로 인정받으면 비밀 보장과 불이익 금지, 신변 보호 조치 등을 적용받는다.
곽 전 사령관은 글 말미에 자신의 ‘생각 정리’라며 “본질을 흐리기 위한 여러가지 생각과 말들이 있을 수 있지만 그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했다.
앞서 성일종 의원은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민주당 의원들한테 완전히 이용당했다’고 이야기했다”고 밝히며 민주당이 곽 전 사령관을 이처럼 회유한 정황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