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2025.02.20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자신의 탄핵 심판에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정치인 체포 명단’ 메모에 대해 “내란과 탄핵의 공작”이라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이날 메모와 관련된 헌재 증언, 검찰 진술에 대해 “일부 혼동이 있어 정정할 필요성을 느낀다”며 작성 경위 등을 번복했다.

윤 대통령 측은 지난 4일에 이어 이날 두 번째 출석한 홍 전 차장을 상대로 ‘홍장원 메모’의 진위를 적극 따졌다. 조태용 국정원장이 지난 13일 메모 작성 과정·장소 등이 사실과 다르다고 증언하면서 신빙성 논란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앞서 홍 전 차장은 “작년 12월 3일 밤 11시 6분 국정원장 공관 입구의 공터에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통화하면서 불러준 체포 명단을 메모지에 받아 적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에게 “싹 다 잡아들여”라는 말을 듣고 여 전 사령관에게 연락하자 명단을 불러줬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날 국민의힘이 공개한 국정원 CCTV 영상을 보면, 홍 전 차장은 그날 오후 10시 58분 자신의 사무실이 있는 국정원 본청 안으로 들어가고 있었다.

국민의힘은 20일 12·3 비상계엄 당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동선이 담긴 CCTV를 공개하면서 그가 진술한 ‘정치인 체포 명단’ 메모 작성 과정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제공

홍 전 차장은 이날 “메모 장소는 공관 앞 공터가 아닌 사무실”이라고 했다. 계엄 당일 밤 10시 46분과 58분, 11시 6분쯤 여 전 사령관과 세 차례 통화했는데, 두 번째는 공관 주차장에서 세 번째는 사무실에서 통화했다고 한다. 홍 전 차장은 “기억을 고증하니 여 전 사령관이 처음 체포자 명단을 불러주겠다고 한 것은 공터에 있던 10시 58분이었고, (명단을) 받아 적은 건 사무실이었다”고 했다.

윤 대통령 측이 “검찰 조사 당시엔 기억이 안 났고, 지금 기억난다는 취지인가”라고 묻자, 홍 전 차장은 “조 원장이 CCTV (내용을) 공개해 여러 부분을 재검토하니, 두 통화를 한꺼번에 한 것처럼 진술했다”고 답했다. 국회 측은 이날 “CCTV 시간은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에게 간첩을 많이 잡아넣기 위해서 방첩사도 좀 지원해주라고 얘기한 것”이라며 “이를 목적어도 없는 체포 지시라고 해서 대통령의 체포 지시로 만들어 냈다는 게 핵심”이라고 했다. 이어 “(홍 전 차장은) 그 메모를 만들어 갖고 있다가 12월 5일 사표 내고, 6일에 해임되니 체포 지시라고 엮어냈다”고 주장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여 전 사령관의 목적이 ‘체포’가 아닌 ‘동향 파악’이었다면서 “동향과 위치를 파악하려고 한 것은 불필요하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