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윤석열 대통령 부부 공천 개입 의혹’ 수사와 관련해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소환 조사 여부에 대해 “결정된 게 없다”고 25일 말했다.
이 차장은 이날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경기 안양시동안구갑)의 관련 질의에 “(윤 대통령 부부를) 소환하겠다는 것은 아직 검토된 바는 없고, 소환을 안 하겠다고도 결정된 게 없다. 모든 건 처음부터 다시 결정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검찰은 현재 이 의혹의 핵심 인물로 여겨지는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와 윤 대통령 부부 등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검찰은 관련 수사를 지난 17일 창원지검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보냈고, 오는 27일과 28일에 구속 수감 중인 명씨를 창원지검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민 의원이 지난해 11월 명씨 사건 수사팀 검사 8명이 김 여사 수사 필요성을 담은 수사보고서를 작성하고 연서명을 했다는 언론 보도를 언급하며 수사를 적극 지원하라고 요청하자 이 차장은 “처음 수사에 착수할 때부터 모든 의혹은 철저히 수사한다는 의지를 가지고 했다”라고 답했다.
또 이 차장은 민 의원이 경찰이 신청한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 구속영장을 반려해 ‘비화폰 서버’ 수색을 막고 있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이자 “경찰에서 수사 중이라 자세한 내용은 말씀을 못 드리지만, (경찰이 신청한 구속영장을) 기각할 때는 충분한 사유가 있어서 한 것”이라며 ”비화폰 서버에 대한 수사는 내란죄에 대한 수사이고, 경호처 차장에 대한 수사는 공무집행방해하고 직권남용인데 별건 수사이지 않느냐”고 반박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질의응답도 이어졌다. 경찰이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필적 감정을 의뢰했지만 ‘감정 불능’ 판정을 받은 것과 관련해선 “저도 수첩을 봤는데 워낙 날아가는 글씨가 돼 있어서 아마 감정이 어렵지 않나 하는데 (감정을) 다시 한번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비상계엄 사태의 공소유지에 대해서는 “공소 사실을 작성할 때 확보한 인적 증거와 물적 증거를 토대로 공소 사실을 작성했다”며 “최선을 다하고, 자신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차장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비상계엄 선포 무렵 김 여사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은 것과 관련해 수사를 촉구하는 말엔 “그건 저희도 최근에 안 사실”이라며 “모든 수사는 철저히 수사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