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 캠프에 미공표 여론조사 13건을 제공했다는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가 검찰 조사에서 “오 시장이 서울로 빨리 올라오라고 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9일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오 시장 측은 “명백한 허위 진술”이라고 반박했다.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 /뉴스1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명씨는 지난 6~7일 창원지검에서 진행된 검찰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 조사에서 이 같이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명씨는 “오 시장으로부터 채근하는 전화를 받았다”는 취지로 진술하면서, 그 날짜를 2021년 1월 20~22일 사이라고 짚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해당 통화를 녹음한 파일을 검찰에 제출하지는 않았다고 전해졌다.

검찰은 지난 조사 당시 명씨와 함께 창원교도소에 수감 중인 김영선 전 의원을 소환해 대질 조사를 진행했다. 이때 김 전 의원은 “명씨와 함께 오 시장을 여러 차례 만났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명씨가 오 시장과 만났다고 특정한 7차례의 만남 중 다수에 동석했다는 취지라고 한다.

이와 관련해 오 시장 측은 “명백한 허위”라는 입장을 이날 밝혔다. 서울시 이종현 민생소통특보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명씨는 지난해 구속되기 전 ‘오세훈은 본인이 왜 시장이 됐는지 모른다’ ‘오세훈 시장은 김종인 위원장 통해서 컨트롤했다’고 주장한 인물”이라며 “명씨는 최근 오 시장이 자신에게 의지했다는 취지의 정반대 주장을 쏟아내고 있다. 명백히 허위일 뿐 아니라 그 스스로의 말과도 모순된다”고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영포빌딩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을 예방, 발언하고 있다./뉴스1

이 특보는 “명씨는 스스로 모든 통화를 녹취하고 기록을 다 남긴다는 인물”이라며 “보도에 나온 류의 통화가 있었다면 진작 녹취가 돌아다녀야 하지 않느냐”고도 했다. 그러면서 “억지 주장을 계속해서 쏟아낼 게 아니라 녹취와 기록을 확인해보면 간단히 다 밝혀질 일”이라고 했다. 이어 “오 시장 측은 명씨의 부정 여론조사 수법을 확인한 뒤 관계를 끊어냈다고 이미 명확히 밝힌 바 있다”며 명씨의 진술이 사실이 아니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한편, 수사팀은 오는 10일 명씨 관련 의혹을 처음 폭로한 강혜경씨를 서울중앙지검에서 참고인으로 조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