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등 디지털 기기를 많이 사용하면 나타나는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을 앓은 학생이 5년 만에 8만여 명 늘어났다. 목이 앞으로 굽은 ‘거북목’ 증상, 시력 장애, 목 디스크, 손목 터널 증후군, 두통 등이 VDT 증후군에 해당한다.
김문수 민주당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2018~2023년 아동 청소년 VDT 증후군 진료 인원’에 따르면, VDT 증후군으로 진료받은 초·중·고 학생이 2018년 30만155명에서 2023년 38만3428명으로 27.7% 증가했다.
특히 VDT 증후군이 나타난 초등학생 증가율이 가팔랐다. 2018년 9만8041명에서 2023년 13만8941명으로 4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학생은 7만7553명에서 10만4905명으로 35.2%, 고등학생은 12만4561명에서 13만9582명으로 12.0% 늘었다.
한국 학생들은 다른 선진국 학생들보다 디지털 기기를 오래 사용하는 편이다. 교육부의 ‘2023 디지털 교육 백서’에 따르면, 한국 학생이 주말 여가 시간에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은 4.4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3.9시간)보다 길다.
교육부는 내년 3월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를 전면 도입한다. 초3·4, 중1, 고1 학생부터 도입하고, 매년 사용하는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학부모들 사이에선 “지금도 휴대전화를 많이 사용해서 걱정인데, 학교에서까지 디지털 기기를 쓰면 사용 시간이 너무 길어진다”는 걱정이 나오고 있다. 김문수 의원은 “AI 디지털 교과서 사용에 따른 학생들의 신체·정신적 부작용 우려가 있는 만큼, 교육부가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