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 의대생 단체 주도로 전국 의대에서 수업 거부 움직임이 나타나는 가운데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상위권 의대를 중심으로 수강률이 높아지면서 수업 정상화 기미를 보이기 시작했다.
3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대는 지난 2일 기준 본과 4학년 111명 중 72명(64.8%)이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대는 본과 4학년 93명 44명(47%)이 수업을 듣고 있고, 본과 3학년도 비슷한 수준의 수강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수업에 복귀한 본과 1, 2학년의 비율은 낮지만 이번 주 초부터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는 본과 2학년 74명 중 47명(63.5%)이 강의실로 돌아왔다. 이들 대학의 수업 출석률은 이번 주 들어 계속 오르고 있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 2일 오전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자체 조사해 발표한 전국 의대(40곳 중 15곳) 평균 수강률(3.9%)과 큰 차이를 보인다. 의대협은 최근 복학한 각 의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고려대는 수강률이 1.57%, 연세대는 5.65%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의 한 의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말 의대 복학 사태 때와 마찬가지로 현재 수업 거부도 강성 의대생 단체가 주도하는 의대생 단일 대오가 깨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달 의대협 주도로 ‘미등록 투쟁’ 움직임이 거세게 일었지만 서울대가 전원 복귀 의사를 밝힌 것을 시작으로 주요 대학 학생들이 복학 등록을 한 것처럼 수업 복귀도 이와 비슷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정부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지난해부터 집단 휴학했던 전국 40개 의대(의학전문대학원 포함) 중 인제대를 제외한 39개교 학생들이 전원 복귀한 상황이다. 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정한 지난달 31일 기준 전국 40개 의대 학생의 복귀율은 96.9%로 집계됐다. 제적자는 총 2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