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에서 여전히 벌어지고 있는 ‘복귀 의대생 괴롭힘’에 대해 정부가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7일 브리핑에서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 센터에 ‘메디스태프’ 게시 글 관련 민원이 또 접수되면, 교육부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메디스태프 긴급 폐쇄를 다시 신청하겠다”고 했다.

메디스태프는 의사·의대생 전용 인터넷 커뮤니티다. 작년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의료 현장과 학교를 떠난 전공의·의대생 중 강경파는 메디스태프에 복귀 전공의와 의대생의 신상 정보와 사진 등을 올리고 비방해 왔다. 복귀한 의대생들은 이 때문에 앞으로 있을 전공의 수련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을지 불안에 떨고 있다. 의대생들이 수업 참여를 희망하면서도 여전히 수업 거부 움직임에 동참하는 이유도 주로 메디스태프에서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로 알려졌다.

이에 교육부는 지난달 22일 방심위에 메디스태프를 긴급 폐쇄해 달라고 요청했다. 방심위는 지난달 28일 긴급 폐쇄 대신 “사이트 내 복귀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신상 공개 등 개인 정보가 담긴 게시물들을 삭제하고, 이를 작성한 사용자의 이용 권리를 해지하라”고 의결했다. 하지만 방심위 조치 이후에도 의대 학생·보호 신고 센터로 복귀 의대생들을 괴롭히는 메디스태프 게시 글이 접수됐고, 교육부가 메디스태프에 연락해 그런 게시 글을 삭제하도록 했다고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방심위가 지난번 심의 결정에서 복귀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비방하고 모욕하는 게시 글이 지속적으로 생기면 더 큰 제재를 하겠다고 밝혔다”며 “한번 더 메디스태프에 의대생을 괴롭히는 내용의 글이 올라오면, 방심위에 메디스태프 긴급 폐쇄를 다시 신청하고 경찰에 수사 의뢰하는 등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 하겠다”고 밝혔다.

복귀한 의대생들의 신상이 메디스태프에 공개되는 등의 일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건 사이트 내 보안 메신저 ‘슈터’의 영향도 있다. IT 업계에 따르면, 메디스태프 슈터에는 ‘종단간 암호화’ 기술이 들어가 있다. 이 기술이 적용된 메신저로 대화를 나누면 메시지 내용은 수신자와 발신자만 볼 수 있어, 수사기관이 메디스태프 서버를 조사해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