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자녀 가정 자녀들도 ‘다자녀 특별전형’을 쓸 수 있도록 한 대학들이 등장했다. 그동안 대입 다자녀 특별전형은 주로 셋 이상 자녀를 둔 가정이 대상이었는데, 자격 기준을 완화하는 대학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지방 대학들이 지원자를 늘리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도 있다.
올해 고3들이 지원하는 2026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대전대와 우송대, 선문대 등 3곳이 다자녀 특별 전형 지원 자격을 기존 ‘3자녀 이상’에서 ‘2자녀 이상’ 가정으로 낮췄다. 형제가 두 명 이상이면 가정 형편과 상관 없이 지원할 수 있다.
대학들은 고등교육법에 따라 전체 모집 인원의 10% 정도를 저소득층, 장애인, 탈북자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뽑아야 한다. 이들은 별도 ‘기회 균형 전형’으로 뽑기 때문에 일반 학생들에 비해 입학이 수월한 편이다. 최근 저출산이 심각해지면서 ‘기회 균형 전형 대상’에 다자녀 가정 자녀를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나고 있다.
대입에서 다자녀 기준을 완화한 대학들은 다자녀 가정 범위를 확대하는 정부 정책 방향을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2021년 다자녀 정책 지원 대상 기준을 ‘세 자녀 이상’에서 ‘두 자녀 이상’으로 낮췄다. 당시 위원회는 “세 자녀 이상 가구가 전체 유자녀 가구 중 7.4% 정도로 축소된 만큼 정책 혜택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두 자녀로 완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자녀가 둘 이상인 가정은 어린이집 입소 1순위, 공공주택 우선 공급 혜택 등을 받고 있다.
인구 감소로 학생 모집이 쉽지 않은 대학들이 지원자 수를 늘리기 위한 방편으로 다자녀 기준을 낮추는 측면도 있다. 특히 기회 균형 전형은 자격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에 지원율도 낮은 편이다. 선문대 관계자는 “사실 세 자녀 가정이 많지 않기 때문에 두 자녀 가정으로 대상을 확대하면 지원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다자녀 가정 자녀를 사회적 배려 대상으로 보는 게 맞느냐는 목소리도 있다. 자녀가 많을수록 양육비와 교육비가 많이 드는 건 맞지만, 소득이 높고 경제적 여유가 있을수록 아이를 많이 낳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기회 균형 전형’ 대상에 다자녀 가정을 포함시키면 저소득층 자녀, 장애인 등 다른 대상들이 대학에 입학할 기회가 줄어들 수도 있다. 실제로 올해 카이스트의 ‘기회 균형 전형’ 입학생 가운데 다자녀 가정 자녀는 59명 중 25명(42%)으로 기초 생활 수급자(11명), 농어촌 출신(11명), 차상위(4명), 다문화(4명) 등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