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오른쪽) 고양특례시장이 지난해 3월 6일 오전 시청에서 열린 ‘북경자동차 생산기지 구축 업무협약’에서 양기웅 지오엠에스디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당시 고양시는 베이징자동차와 협약을 맺었다고 발표했으나, 베이징자동차 본사에서 하루만에 이를 부정했다./고양시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검증하지 않고 사업을 추진했다가 망신을 당한 지방자치단체는 신안군과 청도군뿐이 아니다. 지난해 3월 경기 고양시는 중국 베이징자동차와 4조원에 달하는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다음 날 베이징자동차는 소셜미디어 웨이보를 통해 “고양시와 아무런 협력 관계를 맺고 있지 않다”는 입장문을 냈다.

광주광역시는 2018년 2월 미국 의료용품 업체 A사의 한국 법인 대표를 사칭한 ‘제니퍼 정’이란 인물에게 속아 “A사가 광주에 3200억원 규모 투자를 한다”고 발표했다가 3개월 만에 취소했다. 임도빈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해외 이력 등을 검증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지자체들이 많다”며 “지자체장들도 치적 쌓기에 열을 올리다 보니 황당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