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노동자 10명 중 3명은 소득이 줄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대면 서비스업의 피해가 컸다. 하지만 택배 기사와 가정의학과 의사처럼 소득이 늘어난 직업도 있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코로나가 직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조사는 작년 8~11월 537직업 종사자 1만6244명을 상대로 이뤄졌다.
응답자의 35.8%가 ‘코로나로 임금·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특히 음식 서비스 관리자는 응답자 전원(100%)이 ‘줄었다’고 했다. 연극 및 뮤지컬 배우(97.1%), 모델(96.8%), 선박 객실 승무원(96.8%), 예능강사(96.7%), 연극연출가(96.7%), 여행안내원(93.3%), 보험모집인·설계사(93.3%), 항공기 파일럿(93.3%) 등도 ‘줄었다’는 응답률이 90%를 넘겼다.
반면 택배 기사의 63.3%는 ‘임금·소득이 늘었다’고 답했다. 이어 가정의학과 의사(60%), 방역원(46.7%), 온라인 판매원(46.7%), 시스템소프트웨어 개발자(43.3%), 의학연구원(40%), 음식배달원(36.7%) 등 순으로 ‘늘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의사는 과별로도 희비가 엇갈렸다. 가정의학과를 제외하고는 수입이 줄어든 경우가 더 많았다. 이비인후과는 67.7%, 성형외과는 53.3%, 안과는 50%, 피부과는 46.7%가 ‘수입이 줄었다’고 대답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최기성 연구위원은 “가정의학과는 각종 예방주사 접종이나 감기 환자 등으로 환자가 몰렸지만, 다른 과는 사람들이 병원 가기를 꺼린 결과로 보인다”고 했다.
대체로 나이가 많고 학력이 낮을수록 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은 30대에선 32%였지만 60대 이상에선 50.5%로 높아졌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46.0%), 대졸(34.4%), 석사 이상(21.7%) 순으로 임금·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