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2일 코로나 방역 위기 상황에서 대규모 주말 집회를 추진 중인 민주노총을 찾아 집회 자제를 요청했지만 민주노총의 면담 거부로 건물 안에 들어가지도 못했다. 민주노총은 집회 강행 의지를 거듭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과 함께 이날 오전 11시쯤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을 찾은 김 총리는 건물 앞에서 민주노총 이양수 부위원장과 한상진 대변인에게 “지금 절박하다. 이번 한 번만 도와달라”며 “지금 어디선가 변이 바이러스가 퍼져나가기 시작하는데 이게 전국적으로 되면...”이라며 집회 자제를 호소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들은 김 총리를 막아선 채 “정부에서 방역 실패한 것을 왜 우리에게 와서 그림을 만들려고 하는가”라며 면담을 거부했다. 김 총리가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에게 전화하려 하자 이 부위원장은 “총리실로 돌아가셔서 전화하라. 기자들 앞에서 무슨 전화를 하신다는 것이냐”고 따졌다.

이 부위원장은 “야구 경기, 콘서트는 되지 않느냐”고 했다. 정부가 민주노총 집회만 막는 것은 부당하다는 취지였다. 김 총리가 “집회 신고대로 흩어져서 50인 이내로 하겠느냐”고 묻자 이 부위원장은 “아니요”라고 했다. 김 총리는 “50인 이상 집회를 하면서 집회의 자유만 이야기하나”라며 답답해했다.

김 총리는 결국 양 위원장을 만나지 못하고 10여분 만에 자리를 떴다. 김 총리는 돌아오는 차량 안에서 양 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집회 개최 여부를 재고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정부서울청사로 돌아온 김 총리는 오후 2시 발표한 대국민 담화에서 “내일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고 있는 민주노총에 간곡히 요청드린다”며 “내 권리와 자유가 아무리 중요해도 타인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면서 주장할 수는 없다”고 했다. 이어 “수도권에서의 대규모 집회는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의 불길에 기름을 부을 수 있는 위험천만한 행동”이라며 “지금이라도 집회를 철회하는 결단을 내려주기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만약 집회를 강행한다면 정부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엄정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