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부산 남포동 자갈치시장 옆 부두에서 한 노인이 앉아 있다. /조선일보DB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부산이 가장 고령화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 안준기 부연구위원의 ‘지역별 고령화와 고령층 노동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의 고령화 속도는 0.968로 17개 광역 지자체 중 가장 높았다. 울산이 0.839로 2위였고, 대구 0.807, 강원 0.791, 경북 0.789, 경남 0.774 등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통계청의 인구 조사 자료를 토대로 전국 시군구의 고령화 정도와 속도를 분석했다. 고령화 속도는 2022년 고령자 비율에서 2015년 고령자 비율을 뺀 뒤 7년으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전국 평균 고령화 속도는 0.677로 분석됐다.

인천 0.684, 충북 0.665 등이 전국 평균과 고령화 속도가 비슷했다. 광주광역시 0.62, 경기 0.583, 전남 0.574, 충남 0.538, 제주 0.418 등이 전국 평균보다 고령화 속도가 더뎠다.

세종은 -0.04로 전국 광역 지자체 중 고령화 속도가 유일하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인구 구조가 오히려 젋어지고 있다는 뜻으로, 젊은 층이 계속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군구 단위로 보면 대구 서구가 1.416으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빨랐다. 이어 부산 영도구 1.320, 강원 태백 1.291, 강원 평창 1.277, 충북 단양 1.243, 부산 사하구 1.236 등의 순이었다.

보고서는 “고령화 상위 지역이 산업재해자 수와 사망자 수도 높게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괜찮은 일자리가 부족해 인력이 유출되고, 이로 인해 기업이 이전하는 등 악순환이 발생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