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실업급여 수급자 10명 중 3명은 6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와 노인 빈곤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일하는 노인은 늘었지만 안정적인 일자리는 적다 보니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와 자영업자 등이 실업 상태가 됐을 때 생활 안정과 구직 활동 촉진을 위해 고용보험기금에서 지급하는 돈이다.
2일 고용노동부 고용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실업급여 수급자 수는 모두 68만325명으로, 전체 연령대 중 60~69세가 19만2369명(28.3%)으로 가장 많았다. 70세 이상 8433명까지 더하면 4월 전체 수급자 중 29.5%(20만802명)가 60세 이상이었다. 이어 50~59세(22.5%), 40~49세(16.6%), 30~39세(16.3%), 20~29세(15%) 순이었다.
실업급여 수급자 중 60세 이상의 비율은 10년 동안 2배 이상으로 늘었다. 10년 전인 2014년 4월에는 60세 이상 수급자가 전체의 13.4%에 그쳤다.
연도별로 집계해도 2013년엔 전체 수급자 121만명 중 60세 이상이 13만2000여 명(10.9%)이었는데, 지난해엔 177만명 중 44만5000여 명(25.1%)으로 늘었다.
고령층의 실업급여 수급 증가는 환갑을 넘겨서도 일하는 노인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노인 상당수는 비정규직 등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에서 실직을 반복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60세 이상 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율은 68.7%로, 전체 임금 근로자의 경우(37.0%)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