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종합운동장 전경./조선일보DB

잠실종합운동장 일대에 전시·컨벤션 시설, 호텔, 실내 스포츠 콤플렉스 등으로 재개발하는 ‘잠실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 종합계획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서울시와 기획재정부(기재부) 간의 5년에 걸친 약 1조원 규모의 잠실 땅 소유권 전쟁이 정리 국면에 접어들었다. 서울시는 2014년 올림픽 주경기장을 리모델링하고, 이 일대 스포츠·MICE 단지를 조성하는 총 9조2000억원 규모의 종합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올림픽주경기장 부근 잠실동 10번지(13만5861㎡)가 기재부 소유라 속도가 나지 않았다.

21일 서울시와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실에 따르면, 시와 기재부는 최근 서울시가 보유한 광명시 하안동 땅, 강서운전면허시험장 땅, 가락 1·2공영주차장 땅을 잠실 땅과 교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각 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지난달 감정평가 절차를 시작한 상황이다. 이 중 광명시 땅은 과거 구로공단 여직원들이 사용하던 기숙사 건물과 근로자종합복지관이 포함된 곳이다.

잠실 땅과 교환하는 땅은

서울시는 애초 강남·강서·서부운전면허시험장 부지를 기재부에 주겠다고 제안했으나 기재부는 “개발되면 땅값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며 거부했다. 2017년 서울시가 잠실 땅이 사실은 서울시와 기재부의 공동 소유였다는 문서를 발견, 소송을 진행하면서 올해 2월 해당 땅의 40.65%는 시 소유임을 확정받았다. 기재부가 소유한 땅의 규모가 확정되자, 이를 바탕으로 시와 정부는 땅을 맞교환하는 방향으로 5차례 협의 끝에 확정 지었다.

감정평가가 끝나면 계약을 체결하고 소유권을 정리하는 절차만 남는다. 다만 교환 완료 시기에 대해 시와 기재부는 모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미경 서울시 자산관리과장은 "땅을 교환하기로 한 것은 협의가 확정된 사항이지만 감정평가에 걸리는 시간 등 완료 시기를 특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도 “아직 확정된 것은 없고 협의가 진행 중인 상태”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