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가 의사'로 유명한 정민석 아주대 의대 해부학 교수(왼쪽)와 정 교수의 실험실에서 조교로 함께 연구하고 있는 아들 범선씨. /김지호 기자

“제 도움으로 의학박사를 받은 아들이 의대 조교수가 되었습니다.”

‘만화가 의사’로 유명한 정민석 아주대 의대 해부학 교수가 소셜미디어(SNS)에서 아들 자랑을 하다가 ‘아빠 찬스’ 논란에 휩싸였다. 파장이 커지자 정 교수는 게시물은 물론 계정을 삭제했다.

정민석 교수가 트위터에 올린 글. '아빠찬스'가 논란이 되자 정 교수는 게시물은 물론 소셜미디어 계정까지 삭제했다. /트위터

정 교수는 지난 1일 트위터에 “저는 가족 이야기를 하지 않는데, 오늘만 하겠다. 자랑하는 이야기”라며 “제 아들(정범선)이 오늘부터 연세대 원주 의대 해부학교실의 조교수가 됐다”고 썼다. 논란이 된 대목은 아들에 대한 설명이다. 정 교수는 “(아들은) 순천향대 의대를 졸업하고, 아주대 의대에서 제 도움으로 의학박사를 받았다”라며 “89년 9월생이므로 만 31살에 조교수가 된 셈”이라고 썼다.

그는 “제가 늘 이야기하는 신경해부학 교과서의 공동 저자가 제 아들”이라며 “보통 사람은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가 된 다음에 세계에서 이름 나려고 애쓰는데, 제 아들은 조교수가 되기 전에 세계에서 이름 났다”고 했다.

RISS에 등록된 정범선씨의 논문. 논문 34개 가운데 20개가 부친 정민석 교수와 공동 저자로 등록돼 있다. /RISS 홈페이지

부모가 자식의 스펙을 관리해주는 이른바 ‘아빠 찬스’를 연상케하는 정 교수의 발언은 네티즌들의 공분을 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검색해보면, 범선씨의 학술지 논문 34개 중 아버지 정 교수와 공저자인 논문은 20개에 달한다. 정 교수가 아들을 노골적으로 밀어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 네티즌은 “정민석 아들에 대한 교육부 감사 신청을 했다”며 교육부에 민원을 제기한 내용을 ‘인증’하기도 했다.

정 교수는 해부학 학습만화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대표작인 ‘해랑이, 말랑이’는 과학인용색인확장(SCIE) 학술지 ‘해부과학교육(ASE)’ 2017년 2월호에 실리기도 했다. 아주대는 “논란이 제기된 내용을 확인한 뒤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