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 오전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열린 코로나19 종합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 그간 서울시의 코로나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고 질타했다. 특히 정부의 방침을 무비판적으로 따르면서 시민들의 고통에 귀기울이지 않은 건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고 했다.

최근까지는 질병관리청 등 정부에서 만드는 방역 지침을 서울시가 따라가는 형태였지만, ‘오세훈 서울시'는 앞으로 정부와는 선긋기를 하며 차별화할 계획이란 취지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와 관련해 영업정지 시간을 업종별로 차별화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시는 곧 관련 후속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오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모든 간부가 참석한 가운데 코로나19 종합대책회의를 열고 “솔직히 말해 서울시가 해야 할 일을 다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반성을 해야 할 것 같다”면서 “물론 최선의 노력을 다했겠지만 1년이 지나면서도 중앙정부가 정하는 1~3단계 식의 대응에 순응했을 뿐 실제 민생현장에서 벌어진 절규에 가까운 소상공인의 호소에 귀를 기울였는지, 깊이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오 시장은 또 “백신 접종 속도가 국제 기준으로 볼 때 매우 뒤떨어졌고, 비슷한 국력의 다른 나라들에 비해 아마 가장 늦은 편”이라며 “접종 일시 중단 등으로 인해 방역당국에 대한 시민 불신도 점차 높아지는 상황”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다른 대응책을 도입할 것을 시사했다. 오 시장은 “지금 상황이라면 소상공인이 희생을 감내할 수밖에 없고, 지금까지와 같은 일률적 틀어막기식 거리두기는 지속하기 어렵다”면서 “업종별 특성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9시나 10시 영업정지 같은 중앙정부의 방침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일률적인 규제중심의 거리두기는 서울시에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며 “소상공인 매출 타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달라”고 했다.

서울시는 각 업종의 협회 등과 접촉해 매출 감소는 최소화하고 방역 효과는 극대화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또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서울형 거리두기 방안 등도 마련해 곧 발표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