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4월 3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조선일보 주최 '부동산 트렌드쇼 2021'를 방문한 오세훈 서울시장이 SH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2021.04.30 오종찬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취임 후 첫 조직 개편을 추진하면서 시청 과(課) 이상 부서 이름에서 ‘도시 재생’을 모두 없앤 것으로 3일 확인됐다. 도시 재생은 박원순 전 시장의 대표 정책으로, 전면적 재건축이나 재개발 대신 소규모 개발로 동네 특성을 살린다는 개념이다. 오 시장은 서울시가 10년 가까이 도시 재생에 집착하느라 주택 공급 부족 사태를 키웠다고 비판해왔다.

여러 서울시 관계자에 따르면, 시는 최근 시의회에 오 시장의 공약 등을 반영한 조직 개편안을 제출했다. 개편안은 우선 도시 재생 정책을 추진하던 도시재생실을 균형발전본부로 흡수, 통합하도록 했다. 박 전 시장 때는 1급 공무원이 도시재생실장을 맡았지만, 신설하는 균형발전본부장은 2급이나 3급 공무원이 맡아 위상이 낮아진다.

산하 부서들도 ‘재생’이란 단어를 다 버린다. 재생정책과는 균형발전정책과로, 역사도심재생과는 도심권사업과로 각각 이름을 바꾼다. 주거재생과는 주거혁신과로 바뀌고, 공공재생과는 다른 부서에 통합된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과 약속한 기존 도시 재생 사업은 차질 없이 진행한다”고 말했다.

대신 오 시장 공약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을 신설한다. 우선 청년 정책을 전담하는 ‘미래청년기획단’이 새로 출범한다. 기존 ‘청년청’을 격상한 조직으로, 청년정책반과 청년사업반을 두고 청년 관련 정책을 총괄한다.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는 공약을 지키기 위해 기존 주택건축본부도 주택정책실로 위상을 높이기로 했다. 코로나 대응 주무 부서인 시민건강국은 기능을 강화한다. 현재 코로나19대응반을 ‘코로나19대응지원과’로 격상하고, 백신 접종과 관련해 ‘백신접종지원팀’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 개편안은 서울시의회에서 조례를 개정해야 최종 확정된다. 민주당이 110석 중 101석을 장악한 상황에서 박원순 전 시장 정책을 추진하던 부서를 대거 축소·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만큼 시의회와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 “사실상 오 시장이 취임 후 처음 시의회에 시정(市政)을 펼칠 수 있게 도와달라고 요청하는 상황”이라며 “서울시 안을 끝까지 밀어붙이기보다 적정선에서 합의점을 찾아나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