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서울시

서울시가 광화문 광장 공사를 진행하면서 조선시대 육조거리 흔적이 대거 발견됐다고 밝혔다. 시는 내일부터 사전 신청을 받아 현장공개에 나서고 발굴과정과 발굴 후 확인된 모습 등은 온라인 영상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시는 2019년 1월부터 광화문광장 문화재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전체 조사 대상지 1만100㎡중 40%(4000㎡)에서 관청 터, 민가 터, 담장, 우물 터, 수로 등 다양한 옛 건축물 흔적이 나왔다. 조선시대 주요 관청의 위치와 건물 기초를 실제 흔적으로 확인한 것은 처음이다.

삼군부 터 전경/서울시 제공

우선 조선시대 군사 업무를 총괄했던 ‘삼군부’의 외행랑 기초가 발굴됐다. 삼군부는 육조거리를 사이에 두고 의정부와 마주보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됐는데, 실제 위치가 확인된 것이다.

사헌부 우물 터/서울시 제공
사헌부 담장, 행랑 추정 지역 전경/서울시 제공

조선시대 관리 감찰 기구였던 ‘사헌부’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행랑, 담장, 우물도 확인됐다.

육조거리 추정 배수로/서울시 제공

이 외에도 도자기 조각, 기와 조각 등 다양한 조선시대 유물도 출토됐다.

시는 오는 21일∼29일 9일간 하루 2번에 걸쳐 시민들에게 현장을 공개한다. 문화해설사도 70∼90분간 동행한다. 광화문광장 온라인 홈페이지(https://gwanghwamun.seoul.go.kr)에서 사전 신청을 받는다. 회당 12명으로 인원을 제한하고, 선착순으로 관람이 진행된다. 가족단위 참가자 많은 주말에는 모형 유물을 직접 접합하거나 복원해보는 고고학 체험 행사도 준비됐다.

영상은 5월말 서울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