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흐름’에서 홀로 소외된 노인을 위해 정부는 무엇을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세 가지를 조언했다.

첫째, ‘직접 찾아가는 교육을 하라’는 것이다. 김범중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노인 가구를 보면, 독거노인과 노노(老老) 부부를 합한 비율이 전체의 60% 이상이기 때문에 옆에 도와줄 누군가가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노인들에게 유튜브 영상을 보내주며, 보고 따라 하라는 건 제대로 된 디지털 교육이라고 볼 수 없다”고 했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도 “스마트폰 교육이 주로 복지관에서 이뤄지다보니 아는 사람들만 듣는다”며 “적극적으로 찾아가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온라인과 노인 복지관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다수의 시민이 디지털 역량을 갖출 때까지, 정부는 대면(對面) 서비스를 유지하라’는 것이다. 노인을 사실상 배제한 채 진행되는 현재의 디지털화는 한계가 뚜렷하다는 의견이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우리 사회의 디지털화 속도를 20~30대에 맞춰서 진전시키는 게 바람직한지 의문”이라며 “디지털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인들을 위해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했다. 기업은 수익 극대화를 위해 움직인다 해도, 공적 영역만은 사회 안정을 위해 대면 서비스를 담당하는 일자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대형 병원, 이용 인구가 많은 공공 시설 등에는 대면이 익숙한 노인을 위한 안내원을 둬야 한다”고 했다.

셋째, ‘현금 살포 같은 선심성 복지 대신 실질적인 디지털 교육에 돈을 쓰라’는 것이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일을 통해 보람을 느끼고 싶은 노인이 늘어나고 있지만, 지금의 단기 일자리는 노인들도 일자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노인들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와 디지털 교육에 필요한 예산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노인들이 새로운 기회를 펼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