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뉴시스

코로나19 백신을 교차 접종한 뒤 사망한 50대 경찰관의 아내가 “백신 맞고 잘못되면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해 접종했는데 멀쩡했던 건강한 사람이 3일 만에 숨졌다”며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아내 A씨는 5일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백신 접종 못 한다. 나까지 죽으면 우리 애들 고아 된다”라며 “평소에 너무 건강했던 사람이라 백신 접종 말고는 아무리 생각해도 사망원인을 찾을 수 없다”고 했다.

A씨는 숨진 남편에 대해 “보디빌딩대회에 나가 3위로 입상도 하고 구미서 형사과에서 10년간 근무할 때는 ‘몸짱’으로 소문이 나기도 했다”며 “평소에 일찍 잠드는 남편이 거실에서 잠을 자고 있어 그런가 보다 했는데 계속 전화가 오는데도 받지 않아 깨울려고 가보니 숨을 안 쉬고 있었다”고 했다.

A씨는 “그동안 심장 쪽에 조금이라도 아픈 적이 있었다면 이렇게 억울하지는 않겠다”라며 “남편은 죽기 직전까지 평소와 같이 근무하고 집에 와서는 두 아이와 친구처럼 장난치며 놀아준 건강하고 성실한 경찰이자 아빠였다”고 했다.

그는 “방역당국으로부터 ‘최종 결과는 아니지만 남편의 사인이 심근염이나 심낭염이 아니어서 백신 부작용에 해당하지 않을 것 같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차라리 코로나에 걸렸으면 남편이 죽지는 않았을 텐데라는 생각만 든다”고 했다.

A씨는 “아들 둘이 이제 중1·중2로 한창 민감하고 아빠가 필요할 시기인데, 혼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너무 막막하다”라며 “정부는 임상실험 등 확실히 검증도 안 된 교차 접종을 권하면서 국민들에게 ‘폭탄 돌리기’를 하고 있다. 국민들은 불안하지만 정부를 믿고 접종을 하는데 아무런 지병도 없고 건강하던 사람이 백신을 맞고 갑자기 숨졌으면 정부에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이어 “사인이 백신과의 연관성이 없다고 하려면 왜 죽었는지, 왜 심장비대증이 갑자기 생겼는지도 정부가 밝혀야 한다”면서 “20여년간 경찰공무원으로 사명감을 갖고 봉사한 남편은 ‘공무원이 정부의 방침을 솔선수범해야 한다’며 의심 없이 맞았다. 심장 관련 아무런 질병이 없던 남편이 백신을 맞은 뒤 갑자기 심장비대증으로 숨졌는데 정부는 책임을 회피할 구실만 찾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A씨는 “아스트라제네카를 1차 접종한 뒤 2차도 아스트라제네카를 맞았으면 이런 일이 없었을 것이다. 정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물량을 확보하지 못해 국민의 선택권을 박탈한 채 교차접종에 대한 검증도 안 된 화이자 백신을 강제로 2차 접종하게 했지 않았느냐”며 “정부가 국민들에게 ‘룰렛’ 게임을 강요하고 있다. 나는 코로나에 걸리더라도 백신을 맞지 않겠다. 주위에서도 안 맞겠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했다.

앞서 구미경찰서 인동파출소 A경위(52)는 백신 접종 후 사흘만인 지난달 20일 숨졌다.

A경위는 지난 4월28일 아스트라제네카를 1차 접종했으며 지난달 17일 화이자 백신 2차 접종 후 두통과 오한 등 이상반응을 호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A경위는 ‘개구리 소년’ 사건 피해자의 외삼촌인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