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채널A 보도. 홍윤철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거리두기 조치를 기준으로 날짜별 사람들의 이동량을 나타냈다. 이 표에 따르면, 1·2차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빨강) 때는 시행 직후 이동량은 감소했다. 반면, 3차와 최근 4차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파랑) 때는 시행 전후로 이동량 변화가 거의 없다. 또 3차와 4차 사이 이동량이 증가하며 팬데믹 이전 평균 이동량을 넘어섰다.

사회적 거리두기 규제 효과가 소멸했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 연구진에게서 나왔다.

23일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동량 추이에 관한 홍윤철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거리두기 조치가 거듭될수록 실제 이동량 감소에 뚜렷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채널 A가 보도했다.

홍 교수 연구팀은 구글 위치기록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에 따라 사람들이 얼마나 이동하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범유행) 이전 평균 이동량과 비교해 1·2차 코로나 유행 때는 거리두기 조치에 따라 이동량이 감소했지만 3차와 이번 4차 때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에는 사람들의 이동량이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는 것도 확인됐다.

23일 채널A 보도. 홍윤철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거리두기 조치를 기준으로 날짜별 사람들의 카페·상점 등으로 이동하는 정도를 나타냈다.

카페· 상점 등 이동량은 정부 거리두기 조치와 관계없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덜 찾아간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격상(7월 12일) 보름 전인 6월 26일 이동량은 펜데믹 이전 평균 이동량보다 많았으나, 4단계 조치가 시행되기 전 이미 이동량은 펜데믹 직전 수준으로 감소했다.

홍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까지 올라갔지만, 이동량 감소에는 큰 효과가 없는 상태다”라며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은 거의 소멸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라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 확산세를 잡기 위해서는 거리두기 조치보다 밀접접촉자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