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서울 동작구 대방동의 한 중식당에 '방역패스'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방역패스(코로나 백신 접종완료 또는 음성확인서)’를 확대 적용하기로 하자 백신 미접종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사실상 백신 미접종자를 차별하고 접종을 강제하는 ‘백신 의무화’ 정책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방역패스는 미접종자의 보호전략”이라며 논란에 선을 그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4일 페이스북에 “방역패스는 미접종자들이 접종을 안했으니 음성확인서라도 내는 책임있는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백신 의무화라고 한다면 백신 미종자의 검사나 치료를 본인 부담하게 한다든지, 미접종자는 재택근무만 한다든지 미접종자에게 벌금을 내게 한다든지, 독일처럼 미접종자는 필수 목적 외 외출을 금지한다든지 이 정도는 돼야 한다”며 “우리나라는 아직 이런 정책 준비도 안하고 있고 시행도 안하고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지금은 예방 접종에 전력을 기울일 때” “백신 접종이 답” 등의 발언을 하며 백신 접종을 거듭 당부하기도 했다.

그는 “의료진들은 발생한 환자는 어떻게든 치료하겠다. 한 달 어떻게든 참아보겠다”며 “저희가 버티는 동안 3차 접종, 청소년 접종, 미접종자의 접종에 전력을 기울여 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방역패스 확대에 불만이 많다는 기사들이 나오던데 지금은 그런 투정이나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이번 겨울 어떻게서든 버티려면 백신 접종부터 챙겨 달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오는 6일부터 방역패스 적용을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일주일 간의 계도 기간을 거쳐 오는 13일부터 백신 미접종자는 음성 확인서를 지녀야 식당, 카페 등 다중 이용시설 출입이 자유로워진다. 또 내년 2월부터는 만 12세~18세 청소년에게도 방역패스를 적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