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코로나 종합상황실에서 의료진이 병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하루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7000명대를 돌파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강력한 거리 두기를 통해 무너진 방역 체계를 빨리 재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련성 기자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7000명대로 치솟고 위중증 환자도 800명을 넘어선 것과 관련 “지금이라도 빨리 상황을 정비하지 않으면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전문가의 예측이 나왔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9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을 통해 “(비상계획 발동이) 절충점 정도로 받아들여져서 시행됐다”며 “정부의 상황인식이 너무 낙천적이고 낙관적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1일 일상회복을 시작하면서 위기 발생 시 비상계획을 단행하겠다고 밝혔고, 유행이 악화하자 지난 6일부터 사적모임 최대 인원을 수도권 6명, 비수도권 8명으로 줄이고 방역패스 대상 시설을 확대했다.

이 교수는 “유행 규모를 감소시키는 게 가장 중요한 상황인데, 지금의 수준으로는 효과를 나타내기 정말 어렵다”며 “(확진자) 속도가 너무 빨리 올라가는 걸 꺾으려면 일시적으로 강한 정책을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비상계획을 반정도 밖에 시작을 안 한 상황이라서 지금 비상계획을 전면적으로 선언하고 바로 발동해야 할 상황”이라고 봤다.

그는 또 “이번주 환자가 더 늘지 않도록 하지 않으면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며 “병상 부족 상황 때문에 중증환자 치료가 제때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어 “이미 주말부터 (하루) 사망자가 70명이 넘었던 날도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 갈 거라고 보고, 이 단계보다 더 넘어가게 되면 100명 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사적 모임 인원제한 4명, 영업 가능 시간 오후 10시까지, 절반 이상 재택근무 등의 조치를 2~3주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환자 의료체계가 복원되면 바로 (조치를) 풀 수 있다”며 “단계적 일상회복을 지금 잠깐 멈추는 걸 정책실패라고 볼 수 없다”고 했다.

정부가 영업시간 제한을 포함시키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이 교수는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너무 커지니까 그랬던 부분이 있다”며 “자영업, 소상공인에게 손실보상을 하든지 영업이 잘되도록 해서 경기를 부양하든 해야 하는데 후자를 선택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정부가 지금까지 손실보상을 제대로 했다면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도 불만을 토로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정부가) 신뢰감을 잃은 부분이 있으니 어쩔 수 없이 후자를 선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수용 가능한 의료체계가 포화 상태에 온 현재 상황에서 위중증 환자의 발생 수를 줄이려면 거리 두기 단계를 조여야 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찔끔찔끔하지 말고 조일 때 확실히 조인 뒤 다시 푸는 게 낫다는 말이냐’는 질문에 “예”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