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가 피해 보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장하성 주중대사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디스커버리펀드에 투자한 경위와 회수된 금액이 있는지를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16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기업은행 을지로 본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모펀드 설정, 판매, 운용, 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서 기업은행과 디스커버리운용사는 사기판매 책임을 인정하고 피해를 100% 보상하라”며 “설립한 지 5개월, 전문 사모투자업으로 등록한 지 보름도 안 된 회사의 상품을 연매출 300조 이상의 기업은행이 적극적으로 팔아준 배경과 이유가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장 대사와 김 전 실장의 해명을 요구했다. 대책위는 “장하성 대사와 김상조 전 실장은 펀드 가입 후 환매 받지 않았다는 해명을 냈지만, 장 대사는 대사로 임명되기 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사 사무실에 자주 왕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펀드의 명칭과 가입시점 등을 밝히고 일부 회수된 금액이 있는지와 현재 시점에서의 손실 금액을 명쾌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했다.
참가자들은 ‘사기은행, 기업은행’ ‘미국이 망해도 걱정 없다더니 1년 만에 깡통’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시위에 나섰다. 대책위는 “펀드 판매 당시 기업은행 측은 ‘안전한 상품으로 원금 손실 우려가 없다’ ‘미국이 망할 일은 없지 않느냐. 설령 망하더라도 6개월 안에 회수가 가능하다’ 등의 말로 가입을 권유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장하성 (당시) 정책실장의 동생인 장하원이 판매하는 상품’이라는 말을 하며 마치 청와대가 뒤에 있는 것처럼 현혹했다”고 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전국 각지에서 디스커버리펀드를 구입한 사람들이 동일한 말을 들었다고 한다.
대책위에 따르면 피해자들은 전세 자금이나 노후 자금으로 펀드에 투자했다고 한다. 경기 안산시 반월공단에서 전자 부품 제조 공장을 운영하는 최창석(61) 대책위원장은 “기업은행의 지속적인 가입 권유와 6개월 3%짜리 펀드라는 말에 속았다”며 “피해 금액을 돌려받지 못한 4년 동안 설비 투자도 제대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최씨가 투자한 금액은 7억원이다. 경기 안산시 시화공단에서 알루미늄 가공 공장을 운영하는 이윤섭(49)씨는 “기업 은행에서 펀드 가입 서류까지 다 작성해 왔다”며 “기업은행에 10년짜리 대출을 받은 입장으로 은행의 요구를 거절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경기 시흥시에 사는 조순익(53)씨는 “주택 자금 적금이 만기 된 것을 보고 기업은행에서 가입 권유를 받았다”며 “줄곧 믿고 거래한 은행이 기업은행이어서 가입했다가 3억원 손해를 봤다”고 했다.
디스커버리펀드는 장 대사 동생인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대표가 2016년 만들었다. 신생 운용사가 내놓은 펀드인데도 당시 ‘장하성 동생 펀드’로 불리며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나서서 판매를 했다. 하지만 2019년 4월 환매 중단 사태가 터졌고 최근까지 2000억원 이상의 투자자 피해가 발생했다. 이 펀드에는 장 대사와 김 전 실장이 각각 60억여원과 4억원을 본인과 가족 명의 등으로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