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전공 교수·학생, 원전 산업 근무자와 학계 인사, 시민단체 대표 등이 17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월성 원전 1호기 폐쇄 등 탈원전 정책을 주도한 문재인 정부가 에너지 안보를 망가뜨렸다”며 “탈원전 정책은 대선 이후에 반복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정용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박상덕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위원, 강창호 한국수력원자력노조 새울1발전소 위원장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정용훈 교수는 “원전 주변 지역은 피폭으로 갑상선 암이 2.5배 증가했다는 등 가짜 뉴스가 많았고, 월성원전 삼중수소 거짓 선동에서는 바나나·커피·멸치 일부에 있는 무의미한 수준의 피폭이 어마어마한 위험으로 둔갑했다”며 “청와대 앞 광장이 시간당 방사선 피폭량은 월성원전 부지보다 높다”고 주장했다.
탈원전 반대 시민단체인 환경운동실천협의회 김경희 사무총장은 “월성 원전 삼중 수소 등 원자력 관련 공포는 대부분 정치인 선동으로 조장됐다”며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해서도 거짓 환경팔이는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선 탈원전을 추진하고, 외국 원전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정부 정책 방향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한수원 사외이사 재직 때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등 탈원전 정책에 반대했던 조성진 경성대 교수는 “문재인 정부는 국내 원전 산업을 파탄에 빠뜨려 놓고 외국에 가서는 우리 원전 우수성을 강조하는 이중적 행태를 보였다”며 “청정하고 경제성이 있는 에너지인 원전을 살려야 미래 산업도 발전할 수 있다”고 했다. 조 교수는 2018년 월성원전 1호기 조기폐쇄를 결정하는 한수원 이사회에서 홀로 반대하고 사표를 냈다.
KAIST 박사과정 조재완씨도 “이번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전문가에게 과학기술과 산업 정책을 맡겨 달라”며 “권력자들의 실책에 가장 피해받는 것이 바로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제 학생들이 거리로 나와 탈원전 반대를 외치며 서명을 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책보고 논문 보면서 학업에 열중할 수 있는 나라로 만들어달라”고 호소했다.
한수원의 월성 1호기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을 고발한 강창호 위원장은 “굴뚝 없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를 만들어내는 환경 영웅이었으나 무지한 대통령과 탈원전 하수인들에 의해 이제 우리는 퇴출 대상이 돼버렸다”고 비판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신고리 5·6호기 공사 지연,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 월성 1호기 조기폐쇄, 원전 계속 운전 포기 등으로 지난 5년간 탈원전 정책으로 발생한 손실은 1000조 원을 넘는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