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 관악구 인헌중학교에서 학생들이 코로나19 대응 현장 이동형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받기 위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16일 발표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신규 확진자 수가 전날 집계된 인원보다 4만명 줄어들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40만741명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누적 확진자는 762만9275명이라고 했다.

하지만 전날 서울시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 신규 확진자 숫자 합산치는 15일 오후 9시 기준으로 이미 44만명을 넘어 있었다. 15일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44만1423명이었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 3시간이나 남아 있었던 만큼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이보다 더 늘어 40만명대 중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런 상황에서 중대본은 오히려 4만여명이 줄어든 숫자를 발표한 것이다.

중대본은 “0시 기준 통계는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 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도 전날 저녁 중간 집계된 지자체 발표와 비교했을 때 일일 집계 확진자 숫자가 큰 차이로 줄어든 건 이례적이다.

온라인에서는 오락가락하는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에 의문을 표했다. 그동안 이런 일이 한번도 없었다는 것이다.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와 SNS 등에는 “신규 확진자 수가 오히려 줄어든 게 말이 되는 건가” “신규 확진자 집계도 못 믿겠다” “확진자가 너무 늘어서 방역 체계가 마비된 것 아니냐” 등의 반응과 해석이 쏟아졌다.

방역당국은 이에 대해 최근 확진자 인정 방식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집계 오류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청은 참고자료를 내고 “전날 저녁에 보도된 확진자 집계치는 지자체 재난문자와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집계된 수치”라며 “이는 기존 확진자나 타 시도 중복 사례, 오류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심야에 정보 확인을 거치는 과정에서 (확진자 숫자가) 줄어들게 된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더욱이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을 확진으로 인정함에 따라 사용자인 의료기관과 확진자가 늘어났고, 확진자 집계 방식도 복잡해져 집계 소요 시간도 크게 늘었다”며 “확진자 집계에 차질이 없도록 긴급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주부터 처음으로 동네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로 진단하고, 이를 추후 보건소로 연계하고 있는 상황이라 안정화 과정에서 실수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지자체나 의료현장의 건의사항들을 논의하면서 빠르게 개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