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은 이준석 대표가 출근길 지하철 시위를 벌이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를 상대로 “비문명적 관점” “서민만 불편하다”며 연일 비판하는 것과 관련해 “굳이 그런 조금은 자극적일 수 있고, 편파적일 수 있는 단어들을 선택했어야 했나”라고 말했다.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2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에서 열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25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시위에 참석해 무릎을 꿇고 사과하고 있다./전장연

김 의원은 28일 KBS ‘사사건건’에 나와 전장연 시위를 비판하고 있는 이 대표를 향해 “시위 방법을 누구도 옳다고, 너무나 좋은 방법이라고 박수칠 사람은 없다”면서도 “조금 우려와 안타까움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선량한 시민의 다수를 불편하게 한다는 발언을 통해서 마치 그분(장애인)들은 선량하지 않은 소수의 이상한 시민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선 안 된다”며 “사회 통합으로 갈 수 있는 긍정적이고 성숙한 방안을 모색했으면 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이 대표가 발언을 자제할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에는 “누가 자제하라고 해서 본인이 선택하는 건 아닌 듯하다”라며 “본인이 자각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면서 “다만 어떤 시장, 어디 당 소속 시장을 따질 것이 아니라, 30~40년간 정부에서 뒷받침하지 못했던 것에 대해 사죄하는 마음으로 그분들 목소리를 들어도 충분치 못하다”라고 했다.

이 대표는 최근 페이스북에 잇달아 전장연의 이동권 보장 시위를 비판하는 글을 올리고 있다. 그는 “서울경찰청과 서울교통공사는 안전요원 등을 적극 투입해 정시성이 생명인 서울지하철의 수백만 승객이 특정 단체의 인질이 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며 공권력 개입을 촉구하기도 했고, “중단하지 않으면 제가 전장연이 불법 시위하는 현장으로 가서 공개적으로 제지하겠다”고도 했다.

이 대표는 자신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28일 라디오 방송에 나와 “장애인이 피켓을 들고 시위하거나 탑승해서 이동하는 것에 대해 뭐라고 한 적 없다”며 “지하철 출입문에 휠체어를 정지시켜 출입문이 닫히지 못하게 하는 시위 방식을 지적한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같은날 전장연 시위 현장에 나와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시위대를 향해 사과하고 무릎을 꿇었다.

한편 전장연은 오는 30일부터 출근길 시위를 중단하고 대신 삭발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이 대표는 “전장연이 지하철 통행을 막아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해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포기했다”며 “전장연이 다수의 일반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방식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인지해서 다행이고 환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