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31일 오전 서울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승강장에서 인수위 답변 촉구 결의식을 가졌다. 이날 두 번째 삭발 주자로 나선 최 회장은 “국민을 갈라치기하고 장애인을 혐오와 차별로 무시한 차기 여당 대표인 이준석 대표께 다시 한 번 사과를 요구한다”며 “이준석 대표가 휠체어를 타고 단 일주일만 저와 함께 장애인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삶을 체험해볼 수 있는 민생탐방을 제안한다”고 했다.
이날 최 회장은 철제 사다리를 목과 어깨에 걸치고 몸에 쇠사슬을 묶은 모습으로 자리에 나왔다. 2001년 오이도역과 2002년 발산역에서 발생한 장애인 리프트 추락 사고를 계기로 지하철 내 엘리베이터 100% 설치를 촉구했던 장애인 활동가들이 지하철 철로에 사슬로 스스로를 묶고 투쟁했던 당시를 재현한 것이다.
삭발에 앞서 최 회장은 “이동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뼈저리게 느낀다. 이동을 해야 사람을 만나고 교육을 받고 일을 할 수 있다”며 “이 상식적인 것이 결코 상식적이지 않았다. 우리 사회는 결코 이것마저 용납하지 않았다”고 했다.
발언 도중 울먹이는 모습도 보였다. 최 회장은 “비장애인 중심 사회에서 한 사람의 국민으로서 평등하게 기본 인권을 보장 받으며 살고 싶었다”며 “저는 이 대표의 말처럼 시민들을 볼모로 지하철을 타지 않았다. 제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저항운동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3호선은 제가 사는 지역을 지나는 지하철”이라며 “주민들도 이용하는 지하철을 막아 서서 시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난해 말부터 지난 28일까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 26차례 출근길 지하철 승하차 시위를 진행했다. 지난 30일부터 ‘장애인의 날’인 4월20일까지 ‘출근길 시위’를 잠정 중단하고 매일 1명씩 삭발투쟁을 전개하고 있다. 첫 삭발자는 이형숙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장이다. 이 회장도 철제 사다리와 쇠사슬을 어깨에 건 채 결의식에 나왔다.
최근 전장연은 이 대표와 ‘출근길 시위’를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이 대표는 전장연의 출근길 시위에 대해 “시민을 볼모로 잡는 비문명적 방식” “서민만 불편하다” 등의 비판을 연일 내놨고, 전장연은 공개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이 대표는 사과 거부 의사를 밝혔다. 전장연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선 이 대표의 이 같은 비판이 ‘장애인 혐오’란 지적도 나왔다. 이 대표는 이날 MBC라디오를 통해 “전장연이 시위하는 자체에 대해서는 그 주장을 반박할 생각은 없지만 (시위) 방식이 최대 다수의 불편을 야기하기 위한 지하철을 멈춰 세우는 방식이어선 안 된다는 말”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