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여사가 청와대에 들어간 뒤 한복 6벌, 구두 15켤레 등을 구입하면서 이를 매번 수백만원씩 전액 현금으로 지급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김 여사의 한복 구매에는 청와대 유송화 전 춘추관장(당시엔 비서관)이 동행했고, 그가 봉투에 든 현금을 전달했다는 것이다.

중요무형문화재 107호 김해자 누비장(匠)은 30일 본지 통화에서 “김 여사가 2017년 영부인이 된 직후 수행원 2명과 함께 경주 공방을 직접 찾아와 누비 2벌, 일반 치마 저고리와 두루마기 각 1벌을 사갔다. 또 원단을 직접 가져와서 1벌을 맞춰 갔다”며 “총 700만원어치였고, 결제는 전액 5만원권 현찰로 했는데, 유송화 비서관이 종이봉투에 담긴 돈을 건넸다”고 말했다. 이어 “그다음엔 김 여사가 휴가라며 찾아와 300만원짜리 한복 코트를 맞춰 갔고, 그때도 유 비서관이 현금으로 결제했다”고 말했다.

이들 한복 중 한 벌은 김 여사가 그해 7월 방미(訪美) 때 입고 있다가 허버드 전(前) 주한 미국대사 부인인 조앤 허버드 여사가 “아름답다”고 칭찬하자 즉석에서 벗어서 선물했던 것이다.

앞서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30일 아침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 “(모든 의류와 장신구는) 사비로, 카드로 구매했다”고 주장했다. 김 장인은 ‘혹시 신용카드 결제를 받지 않는다고 했느냐’는 기자 질문에 “무슨 소릴 하는 거냐. 카드 주면 카드 받고, 현금 주면 현금 받는 거지…”라고 대답했다. 또 김 장인은 “김 여사는 과거에도 서울 공방과 전시실 등에 종종 들렀는데, 그땐 구경만 했고 한 번도 구매한 적은 없다. 실제로 상품을 산 것은 당선 직후가 처음이었다”고 했다.

김 여사에게 수제화를 판매한 서울 성동구 JS슈즈디자인연구소 전태수 대표도 “김 여사가 2017년 문 정부 출범 이후 두 차례에 걸쳐 각각 구두 9켤레와 6켤레를 샀다”며 “두 번 모두 결제는 현금이 담긴 봉투였다”고 했다. 유송화 전 관장은 본지의 해명 요청을 거부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여사의 사비를 현금으로 쓴 것”이라면서 “세금계산서까지 발행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안다. 문제 될 것이 없다”고 했다.

한편 이날 서울경찰청은 김 여사가 강요·업무상 횡령 등 혐의로 고발된 사건을 서울청 산하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에 배당했다고 밝혔다. 지난 25일 시민단체 서민민생대책위원회가 고발장을 낸 데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