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디스커버리펀드 사기 판매의 핵심인 장하원을 즉각 구속하라!”
11일 오전 11시 10분쯤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검 앞에서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 대책위원회’(대책위) 관계자 10여 명이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의 구속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장 대표가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어서, ‘장하성 동생 펀드’로 불렸던 디스커버리펀드는 2016년 만들어져 국책은행인 기업은행 등이 이를 판매했다. 하지만 2019년 4월 환매 중단 사태가 터져 2000억원이 넘는 투자자 피해가 발생했다.
장 대표는 펀드가 부실화할 수 있다는 점을 알면서도 고객들을 속여 펀드를 판매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펀드 판매 당시 은행장이었던 김도진 전 IBK기업은행장도 피의자 신분으로 전날 경찰 조사를 받았다.
이날 대책위 관계자들은 ‘전 청와대 정책실장 친동생 장하원과 기업은행, 커넥션(연결) 의혹 밝혀라’ ‘기업은행은 모든 피해자에게 즉각 배상하라’ 등의 피켓을 들고, “장하원을 즉각 구속하라” “디스커버리 관련자 처벌하라” 등 구호를 외쳤다.
대책위는 “장 대표는 디스커버리 환매 중단으로 1300여 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안겼지만, 무책임하고 뻔뻔한 태도를 보여 왔다”며 “검찰은 신속하게 장 대표를 구속해 증거인멸 도주를 방지하고 엄중 처벌에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6일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장 대표에 대해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하지만 서울남부지검은 “보완 수사를 요구한다”며 10일 이를 경찰에 되돌려 보냈다. 이에 대책위 측은 “(검찰의 보완수사 요구가) 더 철저한 수사를 요구한 취지여야 한다”고 했다.
이의환 대책위 상황실장은 “환매 중단 이후 피해자들의 사업장은 부실해졌고, 우울증·공황장애를 앓는 사람들도 늘었다”며 “평생 기업은행, 정부, 금융제도 등을 믿고 살았던 사람들의 삶이 부정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기업은행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대책위는 “기업은행은 자본시장법상 사모펀드 판매 중개사인데, 사고가 터진 이후 자신들도 사기 피해자인 것처럼 행동하고 피해 회복에 소극적이다”고 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인 낙하산 인사인 윤종원 현 기업은행장은 금융피해자를 철저하게 외면했다”며 “해임돼 다른 인물로 교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스커버리펀드 판매 당시 피해자들은 기업은행 등 판매사 직원들의 적극적인 권유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맹모(79)씨는 “2019년 디스커버리에 15억을 투자했지만, 아직 절반 가까운 돈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맹씨는 경기 부천시에서 부동산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그는 “30년 넘게 기업은행을 믿고 거래해 왔다”며 “당시 (판매사) 직원이 우리 회사에 찾아와 펀드 구매를 권했다”고 했다. 맹씨는 “추후 ‘미국이 망하지 않는 한 절대 망할 일이 없는 펀드’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면서 “다른 피해자 중 ‘장하성 동생 펀드다’라는 말을 들은 사람도 있다”고 했다. 맹씨 역시 자신의 사업에 투자한 사람들에게 돈을 돌려줘야 하는데, 약 7억원이 부족하다고 한다.
그는 “원금만이라도 회수하고 싶다”며 “장 대표 구속 등 수사가 철저히 이뤄져 이 고통을 끝내고 싶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