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남노는 정말 강할 것으로 예상되니 슬픔과 회한이 다시 찾아오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주시길 부탁드린다.”
4일 오전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예상경로를 발표하는 브리핑에 나선 이광연 기상청 예보분석관의 말이다.
힌남노는 5일 오후 3시 서귀포 남남서쪽 340㎞ 부근 해상, 6일 새벽 3시 서귀포 동북동쪽 50㎞부근 해상을 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6일 오전 7시쯤 경남 통영·고성 부근 육상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
이 분석관은 힌남노 예상경로를 밝힌 뒤 역대 태풍이 일으킨 피해도 설명했다. 지난 2002년 제15호 태풍 루사 때는 209명이 사망하고 37명이 실종됐다. 이재민은 6만3085명으로, 재산피해액만 5조1479억원에 달했다.
2003년 제14호 태풍 매미 때는 119명이 목숨을 잃고 12명이 실종됐다. 이재민은 6만1844명이었다. 재산피해액은 4조2225억원으로 집계됐다. 2004년 제15호 태풍 메기 때는 7명이 사망했다. 이재민은 4712명이었다. 2016년 제18호 태풍 차바 때는 6명이 숨지고 671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 분석관은 “숫자 하나하나에 많은 사람의 슬픔과 회한이 담겨있다”며 “힌남노는 정말 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이 올 때) 부디 안전한 곳에 머무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힌남노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어 전국에 폭우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형적 효과가 더해지는 지역은 물폭탄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6일까지 전국에 100~300㎜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하면서 제주 산지는 600㎜, 지리산 부근에는 400㎜의 비가 내릴 것으로 봤다. 특히 태풍의 눈을 중심으로 강한 비구름대가 지형과 상호 작용하는 지역을 중심으로는 시간당 100㎜ 넘는 비가 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