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차례 간소화' 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간소화 방안대로 차린 9가지 음식의 차례상. /연합뉴스

유교 전통문화를 보존해온 성균관이 추석을 앞두고 차례상 간소화 방안을 내놨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다. 성균관이 제시한 간소화 방안의 핵심은 두 가지다.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지 말라는 것과 음식은 최대 아홉 가지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표준안에 따르면 간소화한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적·炙),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육류, 생선, 떡을 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다만 상차림을 하는 것도 가족들이 서로 합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했다.

성균관 측은 “예의 근본정신을 다룬 유학 경전의 ‘예기(禮記)’의 ‘악기(樂記)’에 따르면 큰 예법은 간략해야 한다(대례필간·大禮必簡)고 한다”며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된다”고 했다.

성균관 측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차례상에 올릴 필요가 없다고도 했다. 추석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노력과 시간을 쏟았던 전을 더는 부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기름진 음식에 대한 기록은 사계 김장생 선생의 ‘사계전서’ 41권 의례문해에 나온다. 밀과나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라고 했다는 게 성균관 측의 설명이다.

차례상을 바르게 차리는 예법처럼 여겨왔던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는 예법 관련 옛 문헌에는 없는 표현이라고 한다.

성균관유도회총본부회장인 최영갑 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차례는 조상을 사모하는 후손들의 정성이 담긴 의식인데 이로 인해 고통받거나 가족 사이의 불화가 초래된다면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닐 것”이라며 “이번 추석 차례상 표준안 발표가 가정 의례와 관련해 경제적 부담은 물론 남녀갈등, 세대갈등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차례를 지내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