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코로나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26일 ‘코로나 7차 유행’에 대해 “시기와 규모는 가늠할 수 없으나, 유행이 없다는 보장이 없다”고 했다.
정 단장은 이날 코로나 특별대응단 브리핑에서 “7차 유행이 얼마나 빨리, 얼마나 세게 올 것인가를 결정짓는 데는 면역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국민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 90% 이상이 항체를 갖고 있다고 나왔지만, 항체를 보유한 것과 실제 면역능력은 다르다”고 했다.
지난 7월 1일 이후 4차 접종을 완료한 국민은 300만여명이다. 7월 1일 이후 여름 재유행에서 확진된 경우는 620만여명이다. 여기에 미확진 감염자(숨은감염자)가 310만여명으로 추정된다. 내달 11일부터 접종이 시작되는 개량 백신을 맞을 사람들은 수백만명으로 예상된다.
정 단장은 “7월 1일 이후 접종·확진된 1500만여명은 실질적 면역력이 4~5개월 유지돼 올해 내로는 감염되지 않을 것”이라며 “7차 유행시 확진될 확률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불과 몇달 전에 많은 사람들이 앓았다고 해서 그 다음 유행이 없다는 보장은 없다”며 “면역 능력을 보유한 사람들이 많다는 점은 희망적이지만, 7차 유행의 시기와 규모는 아무도 가늠할 수 없고, 7차 유행에 대해 철저히 대비를 해야 한다”고 했다.
관련 사례로 7월부터 시작됐던 6차 유행을 제시했다. 그는 “5차 유행(오미크론 대유행) 당시 추정되는 숨은 감염자까지 포함해 2300만명이 코로나를 앓고 면역을 갖고 있었지만, 불과 4개월 후인 7월부터 6차 유행이 시작됐다”며 “전 인구의 절반 정도가 이미 앓아서 면역이 있는데도 6차 유행은 오고 말았다”고 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관련해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정 단장은 설명했다. 그는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7차 유행을 가늠은 못하지만 준비는 항상 좋은 것이고, 재난 대비는 언제나 다소 과잉되게 하는 것이 미비한 대응보다 훨씬 낫다”고 했다.
이어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는 7차 유행이 크게든 가볍게든 지나가고 어느 정도 안정이 되고 일시에 다 같이 벗는 것이 혼선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영유아 언어발달 때문에 영유아부터 벗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는 어느 시점을 잡아 일시에 해제하는 것이 훨씬 혼선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