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 사건’을 두고 더불어민주당 김의겸 의원과 한동훈 법무장관이 설전을 벌였다.

15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동훈(왼쪽) 법무장관이 더불어민주당 김의겸 의원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YTN

김 의원은 김 여사 관련 검찰 수사가 과거 검찰총장이었던 윤 대통령 영향력으로 제대로 이뤄질 수 없었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한 장관은 윤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되는 자신이 정작 당시 인사에서는 수차례 좌천됐었던 사실을 들어 김 의원 주장을 반박했다.

이날 김 의원은 한 장관에게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 사건에 대해 질의하면서 “이 사건 수사가 2021년 6월에 금융감독원 압수 수색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 전에 윤석열 검찰총장 시절에 아무도 수사하지 못했다”고 했다. 앞서 열린민주당(현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의원 등은 2020년 4월 김 여사 관련 의혹을 검찰에 고발했고, 관련 사건은 그해 11월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에 배당됐다. 수사는 이듬해인 2021년 6월 금감원 압수 수색을 시작으로 본격화했다.

김 의원은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실에서 장모, 김 여사 관련 일일이 모니터링하면서 일제히 컨트롤 했던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김 여사에 대한 고발이 접수된 2020년 4월 이후부터 2021년 6월 첫 압수 수색이 이뤄지기 전까지 관련 수사에 진척이 없었고, 이런 뒷배에는 윤 총장의 입김이나 영향력이 있었을 것이란 주장이다.

한 장관은 “사실과 다르다. 당시 저도 좌천된 상황이었고, (관련 사건을 다루는) 대검 반부패부장이나, 서울중앙지검장도 윤 총장이 원하는 인사가 아니었다”며 “그 때 중앙지검장 누구였느냐”고 반문했다. 이 시기 대검 반부패부장은 신성식 현 법무연수원 연구위원, 서울중앙지검장은 이성윤 현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이었다. 문재인 정부 당시 친(親)정부 인사로 평가된 인물들이다.

김 의원은 “중앙지검장이 문제가 아니고, 여전히 살아 있는 최고 권력으로서의 윤 총장 아니었나”라고 반박했다. 한 장관은 그러자 “최고 권력인데, 소위 말하는 측근이라는 저는 저기 날아가 있었다”며 “당시 윤 총장은 사실상 지휘권이 없었다. 그걸 그렇게 쉽게 잊느냐”고 했다. 2019년 대검 반부패강력부장으로 조국 수사를 지휘한 한 장관은 2020년 1월 부산고검 차장검사로 발령났다. 같은 해 6월 이후에는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발령받아 용인분원과 충북 진천본원으로 이동한 뒤 2021년 6월 다시 사법연수원 부원장으로 전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