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군항제 야시장에서 판매 중인 5만원짜리 통돼지바비큐와 2만원짜리 해물파전. /온라인 커뮤니티

국내 대표 벚꽃 축제인 진해군항제에서 바가지 요금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이와 관련해 행사 주최 측이 “자격 미달인 곳은 장터에서 강제 퇴출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제61회 진해군항제 주관기관인 ㈔이충무공선양군항제위원회(선양회)는 30일 입장문을 내고 이 같이 밝혔다. 선양회는 “최근 군항제 장터 음식의 비싼 가격과 수준 떨어지는 음식을 비판하는 목소리와 관련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남은 기간 장터 음식점을 대상으로 음식 가격과 질, 위생 관리, 카드 단말기 사용 및 현금영수증 발부 등 전반에 대해 철저히 지도·감독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격 미달인 곳은 폐점 및 강제 퇴출 등 강제 조치하고 향후에도 영원히 입점을 배제하겠다”며 “착한 가격과 청결한 음식을 위한 캠페인을 펼치겠다”고도 했다. 이어 “부실한 먹거리로 관광객들의 불편과 민원이 발생한 데 대해 다시 한 번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진해군항제 먹거리 장터 요금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는 지적이 나왔다. 발단이 된 건 한 네티즌의 블로그 후기였다. 이 네티즌은 야시장에서 주문한 통돼지바비큐와 해물파전 사진을 공개하며 “저 바비큐가 무려 5만원이다. 밑에는 심지어 양배추가 많이 깔려 있다”고 했다.

이어 “아무리 눈탱이를 맞으러 가긴 했지만 이 정도는 심하지 않냐”며 “충격적인 비주얼”이라고 토로했다. 또 “파전도 2만원이다. 그냥 내가 집에서 구워주겠다”며 “아이들 먹으라고 탕후루도 샀는데 하나에 5000원이었다”고 했다.

바가지 요금 논란 빚은 진해군항제 장터음식점 사진/뉴시스

이 게시물을 읽은 다수의 네티즌들은 ‘국내 관광지의 바가지 요금이 심하다’는 의견에 공감했다. 다만 지자체는 현행법상 숙박업이나 음식업의 경우 자율가격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관광지 업체들의 자정노력 없이는 바가지요금 근절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창원시청 관계자는 전날 조선닷컴에 “밤낮으로 조를 나눠 식당 위생과 바가지 요금에 대한 계도 조치에 나서고 있다”고 했다.

한편 진해 군항제는 내달 3일까지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