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선 대학뿐 아니라 직업계 고교(옛 전문계·특성화고)도 외국인 학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신입생을 확보하며, 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 지역에 외국인을 늘리려는 것이다.
경북교육청은 올해부터 베트남 등 외국인 학생을 도내 직업계 고교에 유치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내년 3월 베트남 유학생 40~50명을 데려올 것이라고 한다. 이들에게 직업과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고, 기숙사와 장학금도 지원한다. 도교육청은 2024학년도부터 직업계 고교가 유학생을 정원 내 30%까지 유치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할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직업계 고교 충원율을 높이고 구인난에 허덕이는 지역 산업계에 인력을 제공하려 한다”며 “현재 직업계 고교 5곳에서 외국인 54명을 받겠다는 의사를 전했다”고 했다. 경북은 23개 시·군 중 18곳(78%)이 ‘인구 소멸 위험’ 지역으로 꼽힌다.
전남교육청도 2026년부터 외국인 학생의 직업계 고교 유치를 실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6년 ‘국제 직업 훈련 학교’를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경북처럼 유학생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올 초 부산·대구·경남·충남 등 일부 지역을 상대로 직업계 고교 유학생을 유치하는 사업에 대한 참여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교육청 관계자는 “인기 있는 대도시 직업계 고교는 ‘국제 교류’를 위해, 소멸 지역 직업계 고교는 ‘신입생 충원’을 위해 찬성하는 분위기였다”고 했다.
다만 직업계 고교에 입학한 외국인 학생들은 현행 비자 규정상 가족과 함께 입국할 수 없다. 졸업 후 취업도 불가능하다. 지난달 20일 교육부가 경북대에서 개최한 간담회에선 “직업계 고교 유학생에게도 가족 초청을 허가하고, 졸업 후 취업이 가능한 비자를 발급해 달라”는 요청이 제기됐다.
현재 법무부는 소멸 위기에 처한 일부 지역에 대해 ‘지역 특화형 비자’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문대 학사 이상을 갖춘 외국인이 해당 지역에서 5년 이상 일하는 조건으로 가족 초청과 취업을 허용한다. 지역에선 이 비자의 적용 대상을 ‘직업계 고교 유학생’까지 확대해 달라는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한국인도 정착이 어려운 소멸 지역에 외국인 미성년자와 가족을 몇 년씩 묶어두는 것이 타당한지 검토할 방침”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