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유리창문에 빛을 쫓아 몰려든 동양하루살이떼. /남양주시 제공

최근 밤마다 서울 성수동 일대에 대형 하루살이 떼가 몰려들어 주민들이 몸살을 앓고 있다. ‘동양하루살이’는 날개를 펴면 길이가 5㎝에 달해 주민들이 혐오감을 호소하고 있다.

12일 성동구청에 따르면 5월 들어 한강에서 가까운 성수동 일대에 동양하루살이가 대량 출몰하고 있다.

동양하루살이는 주로 5~6월쯤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깨끗한 물인 2급수 이상의 하천 등에 서식하는 곤충으로, 한강 접경 지역인 서울 강동‧광진‧송파‧성동과 경기 양평‧남양주‧하남 등에서 주로 관측된다.

입이 퇴화해 물지 않아 파리나 모기처럼 질병을 옮기지는 않는다. 문제는 어마어마한 숫자다. 밝은 빛을 좋아해 불빛을 보고 집중적으로 모이기 때문에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그동안 경기 남양주시 덕소리 등 남한강 주변 일대에서 해마다 관측됐는데, 최근 지역 상권이 발달하면서 밝은 조명이 늘어난 성수동 일대에 유독 동양하루살이들이 몰려드는 것으로 전해졌다.

성동구청은 동양하루살이가 태어나는 것을 막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유충서식지인 한강 유역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살충제 살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죽은 동양하루살이 사체들이 간판 아래에 모여있는 모습. /연합뉴스

동양하루살이는 수명이 4~5일에 불과해 자연적으로 죽는다. 하지만 그 시체들이 무더기로 쌓여있는 모습 또한 보는 이들에게 불편함을 준다. 이에 성동구는 5~9월까지 한강과 중랑천변 산책로 등에 친환경 해충퇴치기 353대를 가동하고 한강 접경 지역의 풀숲 등 동양하루살이 휴식처에 대한 방역 소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성동구청은 “동양하루살이는 밝은 불빛을 좋아하므로 밤 8시 이후에는 조명의 밝기를 최소화하고, 부득이한 경우 노란색 계통의 등 또는 나트륨등을 사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모기장이나 방충망을 설치하고, 창문이나 유리에 붙어있을 때는 분무기로 물을 뿌려주면 힘없이 떨어진다”고 안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