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9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3 서울 FCI 국제 도그쇼에서 비숑 프리제들이 견종 표준 심사를 받고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뉴스1

31일 오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가 발령됐다는 내용의 위급재난문자가 발송되면서 혼란이 빚어졌다. 행정안전부가 곧 ‘오발령’이라고 바로잡았으나, 시민들 사이에서는 “적절치 못한 대응”이라는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재난 상황 시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등이 공지되지 않았다며 “알맹이는 쏙 빠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시민들은 위급 상황이 아니라는 것에 안도의 한숨을 내쉬면서도, 실제 재난 상황 시에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명확한 안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일부는 직접 국민재난안전포털 등을 통해 재난 상황 시 행동요령, 자택 인근 피난처 등을 찾아보고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유하기도 했다.

실제 위급 상황 시 갈 수 있는 인근 대피소 위치는 행정안전부의 ‘안전디딤돌’ 앱과 국민안전재난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재난 상황에서는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할 수도 있으니 위치를 미리 파악해놓는 것이 좋다. 도심의 경우 집 주변 지하철역이나 건물 지하 주차장 등에 대피소 표지판이 붙어있는 곳도 있으니 살펴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서울 시내 한 공원에서 떨어진 마스크를 가지고 장난 치는 길고양이의 모습./뉴스1

그렇다면 반려동물을 기르는 보호자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국립재난안전포털은 ‘반려동물 가족을 위한 재난 대응 가이드라인’을 통해 재난 발생 전 준비사항과 재난 발생 시 행동요령 등을 안내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보호자는 재난 시 반려동물과 함께 입장할 수 있는 가까운 대피 시설(임시주거시설) 목록을 만들어 놓고 이동 경로 및 이동 방법을 미리 생각해 놓아야 한다.

보호자는 하네스(목줄), 이동장 등 이동에 필요한 장비들과 사료, 물, 비상약, 담요, 배변패드, 건강정보 기록 등 대피 시 반려동물에게 필요할 물품들을 모아놓은 재난 키트를 구비해 놓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 등록을 하면 분실 시 내장칩을 이용해 다시 찾을 수 있으므로 미리 등록하는 것도 추천한다.

가족들과 함께 반려동물 대피 과정을 연습해보는 것도 좋다. 동물이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구석에 숨거나 보호자의 지시에 따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재난이 발생하면 보호자는 반려동물을 이동장으로 옮기고, 미리 준비한 재난 키트를 챙겨 대피시설로 이동한다.

반려동물과 함께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동물을 묶어두지 않아야 한다. 이 경우 문 앞에 남아있는 동물의 수와 보호자 연락처를 적은 메모를 남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