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서도 나라 지킨다…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식 - 5일 오후 경북 칠곡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고(故) 백선엽 장군의 동상 제막식이 열려 참가자들이 제막을 하고 있다. 6·25 전쟁 영웅인 백 장군은 다부동 전투에서 낙동강 전선을 지켜내며 전쟁의 흐름을 바꿨다. 동상은 높이 4.2m, 너비 1.56m 크기로 제작됐다. 동상건립추진위원회가 국민 성금으로 3억5000만원을 모았고, 국가보훈부도 예산 1억5000만원을 투입했다. /연합뉴스

5일 오후 경북 칠곡군 다부동 전적기념관. 6·25 전쟁 영웅 고(故) 백선엽(1920~2020) 장군의 동상 위에 씌워진 흰색 덮개가 벗겨지자 추모객 2000여 명이 모인 객석에서 박수가 터져 나왔다. 4.2m 높이의 동상은 백 장군이 1950년 8월 다부동 전투 당시 입었던 군복과 군모를 쓰고 양손을 허리에 짚은 채 북쪽을 바라보는 모습이다.

칠곡 군민들은 “백 장군이 73년 만에 다시 오셨다”면서 제막식이 끝난 뒤 한참 동안 동상 옆에서 기념 촬영을 하며 자리를 뜨지 못했다. 다부동은 6·25 전쟁 당시 백 장군이 사단장이던 1사단이 북한군 3개 사단을 격파한 곳이다. 1사단이 다부동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국군은 최후 방어선인 낙동강 전선을 지키며 반격의 발판을 마련했다.

백선엽 장군 동상은 백선엽장군동상건립추진위원회(한국자유총연맹 경북지부)가 주도해 국민 성금을 모으고, 국가보훈부와 경북도 등에서 후원을 받아 5억원을 들여 제작했다. 백 장군이 동서남북 사방으로 나라를 지켰다는 의미를 담아 동상이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추진위 관계자는 “국민 성금이 모금 2개월 만에 목표액을 달성할 정도로 동상 제작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거웠다”고 했다.

이날 백선엽 장군 3주기 추모식 및 동상 제막식에는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과 백 장군의 장녀 백남희(75) 여사, 이종섭 국방부 장관,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이철우 경북지사, 김재욱 칠곡군수, 주민 등 2000여 명이 참석했다.

박민식 장관은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영웅들의 피 묻은 군복 위에 서 있다”면서 “호국의 별인 백선엽 장군의 희생과 헌신을 많은 분들이 기릴 수 있을 것이며, 6‧25 전쟁 최대 격전지였던 낙동강 방어선을 자유민주주의 수호의 성지로 만들겠다”고 했다.

백 장군의 딸 백남희 여사는 “아버님은 생전 유언으로 전우들과 함께한 다부동에 묻히고 싶다는 말씀을 하셨다”며 “그런 의미에서 아버님의 동상은 생사를 함께했던 전우들의 동상이며, 다부동 전투의 투혼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이우경 백선엽장군동상건립추진위원장은 “문재인 정권에선 백선엽의 이름을 지우려 했고, 모두가 서슬 퍼런 정권의 눈치만 봤다”면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고 희생하신 영웅들이 다시는 홀대받지 , 잊히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박정환 육군참모총장은 “창군의 주역이자 조국을 구한 전쟁 영웅인 장군의 뜻을 이어 이제는 저희가 자유 대한민국의 평화를 지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5일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린 고(故)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식에 앞서 6·25전쟁 당시 다부동 전투에 참전해 국군을 도왔던 지게부대원들을 기리는 ‘위령비 제막식’이 열렸다. /뉴스1

한편 백선엽 장군의 동상 인근에는 전쟁 당시 국군을 도운 민병대 ‘지게부대’를 기리는 추모비도 들어섰다. 지게부대는 계급도, 군번도 없는 민간인들로 전투가 벌어지는 고지에 탄약과 식량 등 전투 물자와 보급품을 운반하고 진지 공사, 부상자 후송, 도로 보수 같은 데도 동원됐다. 45kg 정도의 보급품을 지게에 지고 하루 16㎞ 정도를 걸어 다녔다고 한다.

미군은 지게의 모습이 알파벳 A와 비슷하다고 해서 ‘A부대(The A-frame Army)’라고 불렀다. 미8군 사령관이었던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은 회고록에서 “작은 체구지만, 무거운 보급품을 지고 고지를 오가며 지원 업무를 용감하게 수행했다” “지게 부대가 없었다면 미군 병력 10만명이 추가로 필요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게부대는 다부동에서만 2800여 명이 전사한 것으로 추정되나 그동안 제대로 된 보상이나 예우가 이뤄지지 않았다.

지게부대 추모비는 백 장군의 딸 백남희 여사가 사비 1200여 만원을 들여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