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채수근 상병 수사와 관련해 '항명 혐의'로 입건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11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검찰단 앞에서 입장을 밝히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군 검찰단 출석이 예정됐던 박 전 수사단장은 "국방부 검찰단의 수사를 명백히 거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폭우 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故 채수근 상병 사건을 조사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13일 군 검찰에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당했다.

김영수 국방권익연구소장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과 박 단장 예하의 해병대 수사관들을 13일 군 검찰에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김 소장은 지난 2009년 해군에서 군수 업무를 맡다 영관급으로는 최초로 군납 비리를 내부 고발한 인물이다. 이로 인해 계룡대 근무지원단 관련자 31명이 입건됐다. 이후 그는 군을 나와 국민권익위원회에서 국방 분야 조사관으로 활동하다 국방권익연구소를 설립했다.

김 소장은 “수사단장은 오로지 헌신적인 사명감으로 법과 양심에 따라 철저하게 수사했다고 자랑스럽게 떠들고 있음에도, 실제로는 아무런 법적 근거도 없이 임의적으로 본 사건을 수사하고 심지어는 수사 결과까지 도출해 외부로 공개하는 어이없는 행위를 저지른 것”이라며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는 법률적으로 무효”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7월에 개정된 현행 군사법원법에 따르면, 군인 사망 사건과 군인이 저지른 성폭력 범죄, 입대 전 범죄에 대해선 민간 법원이 재판권을 행사토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군 검찰 및 군사경찰은 위 3가지 내용과 관련된 사건에 대해서는 수사권이 없다.

국방권익연구소 측은 “해병대 수사단 측의 위법행위에도 불구하고 군인권단체 등 시민단체나 국가인권위원회 및 국회나 언론 등에서 전혀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오히려 해병대 수사단장의 직권남용 행위가 마치 정의로운 행동이었던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며 “이러한 현실에 동의할 수 없어 고발까지 이르게 되었다”고 고발 취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