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뉴스1

경찰이 의료용 마약류 처방을 남용하는 전국 의원급 병원(병상 30개 미만)들에 대해 일제 수사에 나선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이 병원들의 진료 과목은 가정의학과나 정신건강의학과로, 다이어트 목적의 의료용 마약류 처방을 남발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이날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식약처는 다이어트용 마약류를 과잉 처방한 것으로 의심되는 전국 병원 최소 15곳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가장 많은 마약류를 처방한 곳은 대구 달서구의 한 병원으로, 작년 한해 2216만개를 환자들에게 처방했다. 식약처는 이 중 절반가량인 1186만개의 식용억제제 마약류가 주로 남용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올해 두 차례의 식약처 수사 의뢰를 받아 오·남용 여부에 대한 혐의를 조사 중”이라며 “과거 유사 사례 판결문이나 개별 환자 상태를 비교해 면밀히 분석·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이 외에도 충남 보령시와 경기 구리시, 경남 김해시 등의 병원에서도 의료용 마약류를 과잉 처방한 정황이 포착됐다.

의료용 마약류는 남용할 경우 중독성이 강해진다고 한다. 다이어트 약으로 쉽게 구할 수 있어 10대 사이에서는 ‘입문용 마약’으로도 불린다. 특히 펜타민 성분의 일명 ‘나비약’은 인터넷으로 불법 거래돼 범죄에 사용되기도 한다. 경찰은 지난 7월까지 검거한 10대 마약 사범 602명 중 절반가량이 ‘나비약’을 불법으로 구입하거나, 이를 재판매한 경우라고 밝혔다.

백종헌 의원은 “의료용 마약류는 오·남용 위험이 크고 의존성과 중독성 등 각종 부작용 위험이 있는 만큼 식약처에서 제대로 된 대책과 관리가 필요하다”며 “식약처는 오·남용 처방이 의심되는 병원에 대해 수사 의뢰에 그칠 것이 아니라 결과와 사후 대응까지 책임 있게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