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관련 이미지. /이신영 영상미디어 기자

만 20세 이상 성인 절반 이상이 앞으로 제사를 지낼 계획이 없다고 답변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30일 나왔다. 성균관은 제사 음식과 형식을 간소화해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 새로운 권고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례 문화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5.9%가 앞으로 제사를 지낼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제사를 지낼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44.1%였다.

이들 중 현재 제사를 지내고 있다고 답한 이들은 62.2%였다. 이를 고려하면 앞으로 제사를 계속 지내는 이들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응답자들은 제사를 지내지 않으려는 이유로 ‘간소화하거나 가족 모임 같은 형태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41.2%), ‘시대의 변화로 더는 제사가 필요하지 않다’(27.8%), ‘종교적 이유나 신념’(13.7%) 등 순으로 답했다.

제사를 계속하려는 이들은 ‘조상을 기리기 위해서’(42.4%), ‘가족들과의 교류를 위해서’(23.4%), ‘부모의 뜻을 이어가기 위해서’(15.9%), ‘전통 유지’(10.0%) 등 순으로 답했다.

자손이 제사를 지내길 원하느냐는 질문엔 ‘자손의 뜻에 맡기겠다’(50.3%), ‘희망하지 않는다’(33.5%), ‘희망한다’(16.2%) 순으로 답했다.

제사 과정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한 것은 제수 음식의 간소화(25.0%)로 꼽혔다. 이어 형식의 간소화(19.9%), 남녀 공동 참여(17.7%), 전통과 현대를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제사(17.2%), 제사 시간 변경(5.3%) 등의 순이었다.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는 이번 조사 결과 및 현대 사회의 특성 등을 고려해 ‘현대화 제사 권고안’을 다음달 2일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성균관은 이번 권고가 일반 가정을 위한 것이며 유림의 제사에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추석연휴를 앞둔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ARS 자동응답조사로 실시됐으며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이 조사에 응했다. 응답률은 3.3%였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2.5%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