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명동·남대문·동대문 일대에서 이른바 ‘짝퉁’ 명품을 판매한 유통업자 137명이 서울시로부터 적발됐다. 서울시는 이들을 상표법 위반으로 형사 입건하는 한편, 상품 7731점을 압수했다.
서울시는 7일 “올해 1월부터 12월까지 짝퉁 명품을 판매한 불법 판매업자를 적발했다”며 “이는 지난해 120명보다 늘어난 수준”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불법 판매업자들을 적발하는 한편, 이들이 보관하고 있던 물품을 압수했다. 시가 압수한 물품은 7731점으로, 정품 추정가로 환산한 금액만 61억원에 달한다. 액세서리가 2674개(16억9000만원)으로 최다였고 이어 의류 2603점(16억3000만원), 가방 500개(14억9000만원), 지갑 1041개(8억7000만원), 벨트나 스카프 등 기타 잡화 913개(4억4000만원) 순이다.
서울시는 국내 최대 짝퉁 명품 거래처로 꼽히는 동대문 새빛시장에서 16억원 상당의 짝퉁 상품을 압수했다. 일부 노점은 일반 상품을 앞에 두고 짝퉁은 뒤쪽에 숨겨 판매해왔다고 한다. 새빛시장의 상점들은 심야시간대나 주말에 위조상품을 집중적으로 판매해 단속을 피하기도 했다.
남대문시장에서는 주로 짝퉁 액세서리들이 판매됐는데,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납(2배~3877배), 카드뮴(2배)이 검출됐다. 납이나 카드뮴 등 중금속을 자주 접하면 중독 증상으로 신장의 기능이 저하된다. 남대문시장의 한 판매업자 A씨는 정품가 7300만원 어치를 본인이 직접 제작해 판매해왔다. 종로 귀금속 상가 밀집지억에서는 14K 귀금속으로 명품 상표를 도용해 직접 만든 액세서리를 판매한 경우도 있었다.
명동에서는 외국인만을 골라 호객행위를 하며 짝퉁 상품을 판매한 업자도 있었다. 이들은 외국인을 상대로 가방이나 의류 등 짝퉁 상품을 판매해왔다.
서울시는 짝퉁 판매업자 발견 시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했다.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 애플리케이션이나,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신고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의 이미지 제고와 건전한 상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단속을 더욱 강화해나가겠다는 방침”이라며 “위조상품 발견 시 적극적인 제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