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2023.12.7/연합뉴스

서울 등 수도권은 우리 국토 면적의 11.8%를 차지하지만 전체 인구의 50.6%가 살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 보고서는 “젊은 인구의 수도권 유입으로 일부 지역은 소멸이 목전으로 다가왔다”고 분석했다. 2015~2021년 수도권에서 증가한 인구 중 청년층(15~34세) 유입이 차지한 비율은 78.5%였다. 반면 동남권(부산·울산·경남)과 호남권(전북·전남·광주)에서 빠져나간 인구 중 청년층은 각각 75.3%와 87.8%나 됐다. 지난 7년간 지방을 떠난 청년 대부분이 수도권에 몰리면서 경제활동인구 등 인적 자본의 지역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수도권 인구 비율이 가장 높다.

청년층의 수도권 유입은 지역 경제 쇠퇴로 이어졌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비수도권 기업 513곳을 상대로 ‘경영 어려움’을 조사한 결과 50.5%가 인력 확보를 꼽았다. 지역에 노동력이 없으니 기업들의 지방 투자도 줄고 있다. 기업의 지방 투자 비율은 2013년 58.2%에서 2020년 52.4%로 떨어졌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내총생산(GRDP) 격차도 2010년 1.2%포인트에서 2021년 5.6%포인트로 커졌다.

서울과 지방의 경제 및 교육·의료 등 사회적 격차도 지방 소멸을 더 부추기고 있다. 2021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월평균 실질 임금 차이는 53만원으로, 2015년 34만원보다 더 벌어졌다. 고용률 차이도 2015년 3.8%포인트에서, 2021년 6.7%포인트로 악화했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청년 인구 1만명당 채용 공고 건수는 수도권이 848건에 달했지만 전남은 69건, 경남 72건, 울산·경북 76건에 그쳤다. 또 보육 시설의 경우 2020년 기준 서울은 평균 1.17km 떨어져 있어 걸어서 20분 안에 닿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강원은 평균 6.66km 떨어져 있어 걸어서 89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1000명당 의사 숫자도 서울은 3.47명인 반면 충북은 1.59명, 경북은 1.39명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