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러시아에 공급해온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수출을 금지하면서 러시아 전기차업계에 비상등이 켜졌다고 모스코타임스가 6일 보도했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최근 EU의 12차 대(對) 러시아 제재 패키지(대상)에 포함됐는데 한국이 이에 동참한 것이 직접적인 이유라고 지적했다.

모스크바 전기버스. /모스크바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인 전략물자관리원(KOSTI)에 따르면 리튬이온 배터리 완제품과 그 부품 모두가 대러 수출 통제 대상이다. 러시아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는 3억2280만 달러(4309억원) 상당의 배터리와 1억8400만 달러 상당의 관련 부품을 수입했다. 이중 한국으로부터 1840만 달러 상당의 배터리를 수입했다.

러시아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공급해온 한국의 업체는 에너테크, 러시아측 구매자는 레네라(러시아 국영기업 로스아톰 소유)였다. 레네라는 2022년 에너테크의 지분을 인수한 러시아 소유의 회사이다. 하지만 이 회사가 한국에 있고, 배터리와 부품 역시 한국에서 공급되고 있다는 게 문제로 지적된다.

에너테크는 현재 러시아에 자체 R&D(연구개발) 센터와 함께 150MWh 규모의 조립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첨단 NMC(리튬-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 배터리 기술을 개발해왔다.

레네라는 에너테크 한국 공장에서 셀과 모듈을 수입해 조립해왔다. 한국 셀로 조립된 배터리는 러시아 정부가 연간 4GWh(5만 대) 규모의 기가공장 건설(칼리닌그라드)을 위한 특별 투자 계약을 체결하면서 ‘메이드 인 러시아’라는 지위를 얻었다.

대규모 공장 가동과 배터리 생산은 2025년 가을로 예정돼 있었다. 모스크바시는 이미 레네라와 전기 버스와 모스크비치 전기 자동차용 견인 배터리 15만5000개 이상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는 “서방의 제재에도 이론상으로는 한국에서 제3국을 통해 배터리 공급을 받을 수 있고, 한국 정부가 이중용도 지위를 보유하지 않는 한 한국 기업이 제재 목록에 있는 물품을 러시아에 공급하는 것을 예외적으로 허가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미국과 EU가 이를 방관할지는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