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질환으로 사망한 고양이. /동물보호단체 라이프

최근 반려묘가 이유를 알 수 없는 무기력증과 병을 앓다 사망했다는 의혹이 잇따라 제기됐다. 원인으로는 고양이 사료가 지목됐다. 아직까지는 고양이 사망과 사료 간의 인과관계는 없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피해 사례를 집계 중인 동물보호단체 라이프에 따르면 21일 오후 6시까지 163가구의 고양이 263마리가 급성 신경·근육 병증을 보였고, 이 중 94마리가 폐사했다. 대부분 고양이는 갑자기 다리를 절거나 기력이 떨어지는 등 이상 징후를 보이다 폐사했다.

이 고양이들은 특정 제조원에서 올해 1~4월 만든 사료를 먹은 것으로 조사됐다. 심인섭 라이프 대표는 “전국적으로 고양이의 연령이나 품종과 무관한 피해가 나타났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공통점은 사료 이외에는 없다”고 했다. 이어 “일부는 상호만 달리하고 제조 공장의 주소는 동일한 곳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문제의 제조원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생산한 사료는 약 20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사태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검사 의뢰를 받은 사료 36건 가운데 3건을 검사했고, 별다른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19일 발표했다. 조사 필요성이 제기된 사료제조업체 5곳에서도 특이 사항은 없었다고 했다.

농식품부는 나머지 검사 의뢰를 받은 사료 30여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제품에 이상이 확인될 경우, 해당 제품은 판매·공급을 중단하게 하고, 폐기 등의 조치를 할 방침이다.

일부 펫푸드 제조사는 선제 대응에 나섰다. 하림펫푸드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하림펫푸드는 자체 공장인 ‘해피댄스 스튜디오’에서만 사료를 생산하고 있다”며 “원재료 입고부터 포장까지 식품 공장 수준으로 까다롭게 관리하며 소비자 공장 투어를 통해 모든 제조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고 했다.

우리와주식회사의 ANF 역시 “원인 불명의 고양이 신경·근육병증은 당사 사료와 무관함을 공식적으로 알려드린다”며 “ANF는 HACCP 인증과 세계식품안전협회의 SQF(식품안전품질프로그램) 최고 3레벨을 취득한 설비에서 생산, 가공, 품질 관리를 통해 안전한 펫푸드를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