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음식 자료사진. 기사 내용과 무관함./김지호 기자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의 약 1.5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 이후 집에서 배달·포장 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가 급증했다.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 기준보다 낮지만, 어린이와 청소년 등은 WHO 기준보다 달게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8~2022년 5년간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당류 섭취량 분석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18년 3274mg에서 2022년 3074mg으로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김치나 국, 탕, 찌개류를 덜 섭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인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WHO의 권고 기준(2000mg·소금 5g)의 약 1.5배에 달한다.

섭취 장소별로 보면 식당에서 먹는 나트륨은 같은 기간 871mg에서 631mg으로 감소했지만, 집에서 먹는 나트륨은 1826mg에서 1962mg으로 늘었다. 특히 집에서 직접 해먹은 음식보다 배달·포장해서 먹은 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가 크게 늘었다. 2018년 166mg에서 2022년 255mg으로 100mg 가까이 늘었다. 1인 가구는 149mg에서 300mg으로 2배가 됐다. 코로나 기간 배달 음식을 많이 이용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국인이 과자, 음료수 등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한 당류는 2022년 하루 평균 34.6g(하루 총열량의 7.6%)으로 5년 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WHO 권고 기준보다 낮은 수치다. 하지만 2022년 6~29세 여성의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은 총열량의 10.3~10.9%로, WHO 권고 기준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