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경부선, 경원선 등 서울 시내 지상철도 총 67.6㎞ 구간을 국토교통부에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지’로 제안한다고 23일 밝혔다. 사업비는 총 25조6000억원, 개발 이익은 31조원으로 추산된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김영재

서울시는 “한때 철도는 도시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기반 시설로 서울역, 영등포역과 같이 주요 역사가 위치한 지역은 서울 대표 중심지로 성장해왔다”며 “하지만 소음과 진동 문제, 중심지와 생활권 단절, 주변지역 노후화 등의 부작용 때문에 지금은 도시발전의 걸림돌로 전락했다”고 지하화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서울시가 이번에 선도 사업지로 제안하는 시내 철도의 지상 구간은 6개 노선 39개 역사다. 15개 자치구를 통과하고 있다.

서울시는 67.6㎞ 구간을 지하화하고, 122만㎡ 면적의 철로 전체를 대규모 녹지공원으로 조성하자는 구상이다. 또 역사부지 171만5000㎡는 업무시설,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으로 복합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에 지하화를 제안하는 지상 철도 구간은 서빙고역을 기준으로 크게 2개로 나눌 수 있다. 경부선 일대(경부선·경인선·경의선·경원선 일부)와 경원선 일대(경원선·중앙선·경춘선)다.

지하화 사업비는 총 25조6000억원으로 추산했다. 경부선(34.7㎞) 일대가 15조원, 경원선(32.9㎞) 일대가 10조6000억원이다.

철도 지하화에 따른 상부 개발 이익은 총 31조원으로 추산된다. 경부선 일대는 22조9000억원, 경원선 일대는 8조1000억원 등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경원선 구간은 사업비보다 개발이익이 적지만, 전체로 보면 사업비 조달 비율이 121%로 별도의 예산이 투입되지 않아도 철도 지하화 실현이 가능하다”고 했다.

서울시는 이런 지하화 구상을 25일 국토부에 제안할 계획이다. 국토부가 오는 12월 실제로 서울시 구상을 선도 사업으로 선정하면, 국토부 종합계획 수립 전인 내년부터 서울시가 기본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2027년부터 설계 등 사업 시행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선도사업지가 아닌 곳과 비교했을 때 1년 정도 시간표가 당겨지는 효과”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