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연합뉴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상장 이후 가진 첫 언론 인터뷰에서 상장 소감과 앞으로의 계획 등을 밝혔다.

백 대표는 12일 연합뉴스에 “지금까지 (30년간) 준비운동하고 체육복 맞추고 국제적으로 선수 자격증 받고 이제 달려볼까 하는데 다들 ‘감회가 어떠냐’고 묻는다”며 “이제 진짜 달릴 것”이라고 했다. “맥도날드처럼 우리 음식을 어떻게 즐기게 할지 머릿속의 꿈을 실현해 볼 것”이라고도 했다.

백 대표가 1994년 설립한 더본코리아는 빽다방, 홍콩반점, 새마을식당 등 25개의 외식 브랜드를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업체로 지난 6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백 대표는 상장에 뛰어든 이유에 대해 “(상장 기업으로서) 공정하게 투명하게, 이 사람 저 사람이 좋은 간섭을 해서 내가 은퇴해도 회사가 오래 갔으면 하는 마음”이라며 “상장했으니 안을 다 보여줄 수밖에 없는데 진짜로 평가받아 그것에 합당한 주가가 유지되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했다.

백 대표는 “내 나이가 50대 후반이라 은퇴할 무렵에 자식들이 기업을 맡기엔 검증이 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때 가서 아빠가 물려줄 수 있는 지분을 갖고 회사를 맡을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가족 경영인이 되기 어렵다. 창업자 자녀로 자기들 하고 싶은 일 하면 된다”고 했다.

백 대표는 최근 심사위원으로 출연한 요리 경연 프로그램 ‘흑백요리사’가 상장에 큰 도움이 됐다고 했다. 백 대표는 “홍콩에서 투자자들을 상대로 기업설명회(IR) 활동을 할 때 많은 도움을 받았다”며 “보통은 (투자자들이) 약속도 안 잡아주고 문 앞에서 돌려보내곤 하는데, 한 번에 10명씩 만나 팬 미팅 하듯이 했다”고 했다. “시즌1 방영이 끝나고 회식했는데, 자연스럽게 (시즌2에 출연)하는 것으로 얘기하더라”라며 “아직 계약서는 안 썼다”고도 했다.

더본코리아는 코스피 상장 첫날인 지난 6일 주가가 공모가(3만4000원)보다 51% 오른 5만1400원에 마감했다. 이에 백 대표는 “처음에 주가가 너무 많이 올라 걱정하기도 했다”며 “내가 바라는 건 (주가가) 시작하는 단계에서 조금 더 높은 단계로 서서히 올라가는 모습”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배당을 많이 해야 한다”고 했다. 더본코리아는 첫해 30억원에 이어 50억원, 80억원으로 매년 배당을 늘릴 예정이라고 한다.

백 대표는 현재 더본코리아 매출의 85%를 차지하는 프랜차이즈 사업을 계속하면서 다른 사업을 크게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백 대표는 “프랜차이즈는 우리 기반”이라며 “국내 지역개발 축제, 해외 소스, 외식 이외의 것을 키워서 매출과 영업이익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백 대표는 국내 지역 축제와 지역 개발 사업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백 대표는 “내년에 계약한 축제는 12개”라며 “전국에서 1년에 1300개 정도의 축제가 열리는데, 10%만 우리가 맡아도 액수로 따지면 어마어마하다. 직원을 계속 늘리고 (메뉴 및 콘텐츠) 개발 능력도 키울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지역개발 사업 규모가 클 것”이라며 “개발사업에서 개소당 2억원에서 7억∼8억원에 이르는 용역비가 거의 순이익”이라고 했다.

백 대표는 앞으로 더본코리아 주주를 위한 할인 행사를 벌이겠다고도 했다. 백 대표는 “한 주만 있어도 주주라고 확인되면 홍콩반점 짜장면을 50% 할인하는 것 같이 행사를 1년에 서너번은 하려고 한다”며 “한주씩 사는 것이 더본코리아 멤버십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