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가 시민 민원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중국인을 폄하하는 표현을 쓴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 승무본부 승무지원처는 최근 ‘지하철 내 과다한 중국어 안내방송이 시끄러워 불편하다’는 취지의 민원에 답변하면서 “중국인이 2명 이상 모이면 빌런들이 종종 발생된다”고 했다.
공사는 답변 글에서 “서울교통공사는 중국인 전문 성우를 섭외해서 중국인이 듣기 편한 정상적인 원어민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있다”며 “중국인은 2명 이상 모이면 시끄럽고 소란을 피우는 빌런들이 종종 발생되고 있다. 오히려 중국어 음성 송출로 무질서에 대한 계도 안내방송을 실시해 열차 내에서는 질서를 지켜 달라는 에티켓 방송을 송출함으로써 질서에 대한 전달이 필요한 사항”이라고 했다.
또 ‘영문으로만 안내방송을 송출해달라’는 민원 내용에 대해서는 “고객님의 말씀처럼 향후 안내방송을 국문과 영문으로만 송출할 수 있는지 다시 한번 검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이 같은 문제의 답변은 일반 네티즌들도 볼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 공개됐다.
서울시 산하 공기업이 공개 답변을 통해 특정 국적의 외국인을 폄하하는 표현을 썼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온라인상에선 논란이 일었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날 설명자료를 내고 “민원 답변 과정에서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부적절한 단어와 내용이 포함된 점에 사과드린다”고 했다.
공사는 “향후 유사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민원 답변부서를 포함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특별교육을 실시하고, 부서장이 직접 민원을 답변하거나 내용을 필히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겠다”며 ‘한국어와 영어로만 안내 방송을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답변과 관련해선 “이 같은 방안을 검토한 바 없다”고 설명했다.
공사 관계자는 조선닷컴과의 통화에서 “사소한 민원에 대해서는 그동안 담당직원이 직접 답변을 해왔는데 앞으로는 부서장이 내용을 필히 확인하도록 하겠다”며 “이런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조치하겠다”고 했다.